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
제조
산출
저작
가공
수법
창작
뉴스
"
제작
"(으)로 총 5,283건 검색되었습니다.
‘낮여밤닫’ 햇빛에 반응하는 스마트 윈도우
2014.10.22
밤이 되면 보안이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어둡게 변해 안을 볼 수 없게 한다. 또 연구팀은
제작
된 액정을 창호형 태양전지와 연동해 태양빛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했다. 덕분에 스마트 윈도우는 외부 전력 공급 없이도 작동이 가능하다. 고두현 연구원은 “스스로 전력을 공급받는 스마트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9편]
동아사이언스
l
2014.10.22
공대가 좋아’는 과학동아의 기획코너인 ‘서울대 공대 카페’ 현장을 방송으로
제작
한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은 분은 먼저 '과학특별시'에 가입하시고, '과학동아 서포터스' 메뉴에 들어가서 참여신청을 하면 '서울대 공대 카페' 안내 메일이 갑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기 ... ...
이황화몰리브덴 차곡차곡 4층 쌓았더니
2014.10.21
여러 층으로 적층해 수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에서도 빛을 내는 나노 박막을
제작
했다. 실제로 이황화몰리브덴 분자를 네 층으로 쌓자 발광 효율이 최대 4배 이상 향상됐다. 이황화몰리브덴 사이에 넣은 고분자전해질층이 발광 현상을 도왔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휘어지는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분야의 융합이 필요하다. 이번 포럼에서 서로 다른 과학기술 분야를 융합해서 바이오칩
제작
공정의 통합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이런 기술이 바탕이 돼야 좋은 바이오칩을 만들 수 있다. - 이 기술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Cs)’에도 적용된다고 하는데. 통합적 분자 진단 ... ...
숨은그림찾기, ‘전자피부’ 어디 붙어 있을까요?
2014.10.20
낮은 투명 금속섬유에 덮는 방법으로 수 m 길이의 투명전극을 만들고 기존 반도체 회로
제작
공정을 이용해서 투명 회로를 만들었다. 박장웅 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투명 전자피부. 회로까지 투명해 손등이나 컵 표면에 붙여도 눈에 잘 띄지 않는다. - UNIST 제공 실험 결과 전기 저항이 ... ...
미드 ‘맨하탄’의 장수를 기원하며
2014.10.19
다룬 드라마가 방영돼 반가운 마음으로 챙겨 보기 시작했다. 미국 WGN 아메리카에서
제작
한 드라마 ‘맨하탄(Manhattan)’이다. 언뜻 제목만 봐선 뉴욕 맨해튼에서 일어나는 이야기 같지만 1940년대 진행된 핵무기 개발 계획 ‘맨하탄 프로젝트’를 다루고 있다. 드라마의 배경은 1942년 미국 ... ...
인공신경망 화상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2014.10.15
과정을 똑같이 구현한 것이다. 지금은 간단한 숫자를 분별하는 수준이지만 멤리스터
제작
기술이 발전하면 얼굴 표정을 보고 감정을 파악하는 것처럼 고도의 분석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화상인식 시스템은 실제 이미지(위)를 인식한 뒤 5×6픽셀의 이미지로 ... ...
'2014 청심ACG역사‧수학대회' 시상제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4.10.13
소통하는 과정이 평가 요소에 반영됐으며, 각 팀의 최종결과물은 동영상 형태로
제작
됐다. 역사대회에는 학생들이 다양한 역사적 상상력, 통찰력을 발휘해 다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개방형 문항이 출제됐다. 또한 역사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로 확장하여 사고하고, 세계사적 관점에서 ... ...
태양전지, 제조원가 절반으로 낮췄다
2014.10.06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가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제작
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를 머리카락 두 개 정도 두께인 100마이크로미터(㎛· 1마이크로미터는 100만분의 1m)정도로 얇게 만들었다. 기존의 두 배 가까이 얇게 만든 것이다. 이렇게 만든 기판 위에 ... ...
헉! 전자기파 쪼이니 체세포가 줄기세포 되네
2014.10.06
완전히 성장한 쥐에서 얻은 체세포에 가해 iPS세포로 변환시키는 데 성공했다. iPS세포
제작
에는 필요하지만 발암 위험성 때문에 논란이 있던 유전자 3개를 배제했음에도 줄기세포를 만드는 효율은 기존 대비 37배나 더 높아졌다. 유전자 없이도 줄기세포가 만들어질 만큼 전자기파의 효과가 ... ...
이전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