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출
표시
증정
기여
기증
공연
노출
뉴스
"
제시
"(으)로 총 6,154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 치료 가능한 새로운 원리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연구는 뇌혈관장벽을 조절하고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한 것”이라며 “ASM을 제어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 중으로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 신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뉴런(Neuron) 9월 28일자에 게재됐다 ... ...
인간에 이로운 단백질공장을 만들다…효소·항체설계자 3인에 노벨화학상(재종합)
2018.10.03
어떤 기능을 갖도록 진화하는 데는 자연상태라면 매우 긴 시간이 걸리지만 세 사람이
제시
한 방식은 짧은 시간에 인간에게 필요한 기능을 가진 효소나 항체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진화의 힘'을 인간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놀드 교수는 원하는 성질을 ... ...
한국 수학계도 36년만에 유리천장 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최대 난제로 꼽히는 ‘L-함수’(복소평면에서 정의된 유리형 함수)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
하고 큰 진보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했다. 최 교수가 정립한 ‘실가중치 보형 형식의 주기 이론’은 현재 정보 보안과 통신 기술, 최첨단 암호 체계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대한수학회 학술상은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맞추면, 원하는 위치로 옮기거나 특정한 위치에 붙잡아 둘 수 있다. 이 기술을 처음
제시
한 사람이 바로 애슈킨 박사다. 그는 1970년부터 관련 논문을 내기 시작해서 1986년에 이를 완성한 논문을 발표했다. 원리는 관찰하려는 입자 크기가 레이저 빛의 파장보다 클 때와 작을 때에 따라 조금 다르다. ... ...
노벨상 최고령기록 100세 육박…90살에서 96살로 껑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세포도 붙잡을 수 있는 이 기술은 생명시스템을 관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했다. 애슈킨 연구원은 1922년 9월 2일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다. 컬럼비아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코넬대에서 박사를 밟은 뒤 39년간 벨연구소에 근무했다. 그는 인생의 황금기인 40대말인 1970년 광학 집게를 개발에 ... ...
노벨물리학상 광학집게·라식용 레이저 만든 美佛加 연구자 3명 수상(종합)
2018.10.02
세포도 붙잡을 수 있는 이 기술은 생명시스템을 관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했다. 애슈킨 연구원은 1922년 9월 2일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다. 컬럼비아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코넬대에서 박사를 밟은 뒤 39년간 벨연구소에 근무했다. 그는 인생의 황금기인 40대말인 1970년 광학 집게를 개발에 ... ...
노벨상 족집게 프리노벨상 아시아에도 있다…국내에선 호암상 인정받아
과학동아
l
2018.10.02
활성을 억제하는 CTLA-4 단백질을 발견함으로써 면역 항암 치료의 가능성을 학계에 최초로
제시
했다. 국제적으로는 아직 프리 노벨상으로 인정받지 못하지만 한국의 노벨상으로 불리며 과학자들이 인정하는 호암상도 있다. 호암상은 1990년 이건희 삼성 회장이 고(故)이병철 삼성 명예회장을 ... ...
IPCC 송도 총회 '1.5도 보고서' 채택 여부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각종 연구를 종합한 내용으로 각국 정부에 기후변화에 대한 합리적인 의견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호주 등 기후변화 믿지 않는 국가 계속 등장해 미국과 호주 등 기후변화에 회의적인 국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행정부는 2017년 6월 파리협정을 돌연 ... ...
배터리 필요없는 피부 부착 심전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돼 왔다. 이를 대신해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방안이
제시
됐지만 피부의 변형, 빛의 입사각도에 따라 태양 전지의 출력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나타났다. 연구진은 미세하고 규칙적인 요철 패턴인 ‘나노 요철 구조’ 를 초박형 유기기판 위에 형성해 ... ...
뇌신경세포 모방해 더 똑똑한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넘어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였다. 알파고 같은 고성능 AI는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제시
했지만 방대한 양의 컴퓨터 자원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알파고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세계 각국의 컴퓨터 자원을 끌어다 쓰는데, 이세돌 9단과 대국할 당시엔 중앙처리장치(CPU) 1202개, ... ...
이전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