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래"(으)로 총 7,8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문가가 뽑은 ICT 분야 유망 직업 23選동아사이언스 l2018.10.16
-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이날 고동환 KISDI 부연구위원은 이번 예측에 쓰인 ICT 분야 미래직업 예측모델을 설명하고, 직무 변화를 바탕으로 직업의 변화를 예측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했다. 고 부연구위원은 “직무 중심으로 분석해 직업과 직무의 혼동에 따른 오류 가능성을 줄였다”며 “신뢰성을 ... ...
- [지구를 위한 과학]WildToon #4 한국의 모든 담수어를 조사하라2018.10.16
- 어린이과학동아 지구사랑탐사대에서 마련한 특별 프로그램이에요. 우리나라 기초과학의 미래를 짊어질 '젊은 연구자'들을 지원하고, 그들의 땀과 열정을 함께 공유합니다. 젊은 연구자의 이야기는 웹툰(WildToon), 스토리콘텐츠(WildStory), 정기강연(WildTalk)으로 이어집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음 ... ...
- “LNG도 언젠가는 고갈될 자원…화석연료 문제 반복될 것”동아사이언스 l2018.10.16
- 누군가 반드시 핵융합에너지를 상용화 할 것이라고 믿는다”며 “핵융합에너지도 미래 에너지의 주요 선택지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국내 연구진 ‘원자 두께’ 2차원 물질 생산 새 길 열었다동아사이언스 l2018.10.15
-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 제공 Peng Li/MIT 한국 과학자들이 주도하는 국제 공동 연구진이 미래 반도체와 휘는 디스플레이 등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매우 얇은 전자 소재인 ‘2차원 물질’을 상용화가 가능할 정도로 크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미국 ... ...
- 공정률 60% 눈앞…“핵융합실용화 인류운명 가를 것”동아사이언스 l2018.10.14
- 가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며 “핵융합에너지는 미래 에너지의 주요 선택지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본부 입구.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위한 ITER 프로젝트는 유럽연합(EU)과 미국, 러시아, 한국, 일본, 인도, 중국 등 7개국이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언제 멈춰서야 할까2018.10.14
- 개척하고, 사회를 건설하고, 지식을 축적했습니다. 100% 확신은 할 수 없지만, 어느 정도는 미래를 기약할 수 있게 되었죠. 아득바득 살지 않아도 내일 굶지 않는다는 것을, 안절부절 두려움에 떨지 않아도 도적이 쳐들어 오지 않는 다는 것을, 당장의 이성에게 매달리지 않아도 더 멋진 대상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속가능한 행복을 위해 '엉뚱함'이 필요하다 2018.10.13
- 가져다 주는 행복이 생각보다 크고 오래 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초등학교 때 학교에서 미래를 상상해서 그림을 그리는 등 새롭고 엉뚱한 상상을 자극하는 과제들이 너무 즐거웠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바람은 현실적이어서 아침에 침대에 누워 있는 채로 씻겨주고 이빨 닦아 주고 밥 먹여주고 학교 ... ...
- 100㎞바깥 우주에서 벌어지는 총성없는 전쟁2018.10.13
- 데 반드시 필요하다. ‘평화를 사랑하는 자, 전쟁을 준비하라’는 말이 있다. 다가오는 미래에는 우주공간 활용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따라서 우주 인력과 우주기술력 확보, 국가 우주 예산 증액 등 우주강국을 위한 노력을 더욱 증대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우주군’ 창설을 위한 노력 ... ...
- [2018국감]강정민 원안위원장 "감독대상 기관서 출장비 받았다”시인…거취 주목동아사이언스 l2018.10.12
- 답변하고 있다-김진호 기자 김성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미래창조과학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KAIST가 제출한 계획 보고서에는 강 위원장의 이름이 올라있다. 하지만 과제를 수행한 뒤 작성한 최종 보고서의 참여자 명단에는 빠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 ...
- MIT 출신 수학자-경제학자, 노벨 경제학상 수상...경제학에 '혁신'과 '기후변화' 결합동아사이언스 l2018.10.08
- 때 노드하우스 교수의 모형이 쓰인다. 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등이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여러 시나리오도 노드하우스 교수의 모형에 기반하고 있다. 두 교수의 업적은 언뜻 각기 다른 분야로 보인다. 하지만 지식과 기술이 어떻게 국제적인 ... ...
이전4864874884894904914924934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