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빠를 것”이라고 예상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 ...
- INTRO. 얼음 사막에서 유령 소리까지, 사막의 미스터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해. 사막에서 무슨 일이 생기면 어디든 가장 먼저 달려가는 해결사지. 그런데 얼마 전, 사막에서 미스터리한 사건이 발생한다는 제보를 들었어. 보안관인 내가 가만히 있을 수는 없잖아? 어서 달려가서 사막에서 일어나는 미스터리한 사건의 정체를 밝혀내고 말겠어. 너희들도 함께 가자! 어서 내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본질, 성질’을 의미하는 마지막 글자 ‘바탕 질(質)’까지 합치면 ‘전해질’은 ‘전기를 띠는 이온으로 분해되는 물질’이란 뜻을 갖게 된답니다.‘유도’는 ‘누군가를 꾀어내 특정 방향으로 이끌다’란 뜻을 가진 단어예요. 이때 누군가를 잘 꾀어내기 위해서는 설득력 있고 조리있는 ... ...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변환을 이용해서 복잡하게 증명했습니다. 그런데 크루트와 레브, 파흐는 푸리에 변환을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학생 정도면 이해할 수 있는 수학만 이용해 증명했지요. 논문에서 증명은 2쪽도 안 될 정도로 매우 짧았습니다.이처럼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면 많은 수학자들이 관심을 갖습니다. ... ...
- [지식] 두 아이가 모두 딸일 확률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나올 확률과 뒷면이 나올 확률이 각각 50%다.두 가지 답 괜찮을까?‘쟤가 딸이다’, ‘동전이 앞면이 나왔다’와 같은 정보를 우연히 준 건지, 정보를 주는 사람이 의도에 맞게 뽑아서 준 건지에 따라 답이 달라지는 현상을 ‘선택효과’라고 한다. 한 가지 문제를 여러 가지 상황으로 해석해서 나온 ... ...
- [소프트웨어] 포켓몬 잡으러 GO 동해바다로 GO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왜 속초에서는 포켓몬 GO가 되는 걸까요? 일부 사람들은 한반도를 뚝 잘랐을 때 휴전선의 모양과는 다르게 속초가 경계선보다 위쪽에 있기 때문이라는 근거를 들었습니다. 쉽게 말해 개발사가 속초를 북한으로 착각했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마찬가지로 경계선 위쪽에 있는 철원이나 연천에서는 ... ...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했지요. ‘로그(log)’를 만들어서요.”네이피어가 로그를 만든 1600년대는 천문학이 발전하던 시기였다. 천문학에서는 큰 수를 계산할 일이 많았다. 온종일 계산해도 결과를 낼 수 없을 정도로 큰 수의 계산이 수두룩했다. 그래서 큰 수의 계산은 천문학자들의 골칫거리였다. 네이피어는 이런 큰 수도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본다. 아마 장학금을 전체적으로 축소하는 방향으로 가거나, 자국민을 위해 쓸 가능성이 높다.김곤수(정보보호, 석사과정)EU에서 연구비를 받는 대학 프로젝트들은 위기일 것 같다. 당장은 연구비가 끊기지 않겠지만, 이후 해당 연구를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알코올 측정기를 연결한 음주측정 배지가 차지했다. 1등 수상자에게는 건담 조립모형이 전달됐다. 시작은 필자, 몽이, 나스카 등 세 명이었지만 배지를 완성시킨 것은 김치콘 참가자들이다. 매캐한 연기를 마다하지 않고 납땜에 도움을 준 자원봉사자, 즐겁게 게임을 즐긴 사람들, 기상천외한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보았다.“조선시대 상평통보 9만 냥이면, 대한제국 돈으로 90만전이고, 대한제국 돈 10전이 일제시대 조선엔으로 1엔이니까, 9만 조선엔이고요.”“그리고?”“그리고, 광복 될 때 100 조선엔을 1환으로 했으니까 900환이고, 그리고 1962년에 화폐개혁으로 환이 다시 지금 우리가 쓰는 원으로 ... ...
이전4864874884894904914924934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