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부
학업
연구
수업
배우기
면학
스터디
스페셜
"
학습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 단백질 공략하고 줄기세포 활용한다…코로나19 치료제 새 후보들 임상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04
제거하는 세포다. 항체처럼 외부 침투에 대응해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면역과 달리 사전
학습
이 필요 없어 ‘선천면역’이라고 불린다. 셀룰러리티는 이 기술을 급성 골수성 백혈병 등 혈액암 치료를 위해 개발하고 있었다. 장 샤오쿠이 셀룰러리티 최고과학책임자(CSO)는 “감염된 세포의 바이러스 ... ...
약 300만년 전 인류의 조상 '루시' 두뇌 유인원에 더 가까워
연합뉴스
l
2020.04.02
과정이 더 길다. 예컨대 인간 유아는 침팬지보다 부모로부터 더 오래 보호를 받으며 긴
학습
과정을 거친다. 이런 점이 인간의 인지 기능과 사회적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인류의 조상이 언제부터 이런 특징을 보여왔는지는 분명치 않다. 유인원 두뇌는 감각 정보를 ... ...
정부 "온라인 개학 철저 준비"…교육현장선 "학생 이해도 파악 어려울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4.01
맞춰
학습
자료를 올린 뒤 학생들에게 알리고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받는 등 온라인
학습
과정에서 이뤄지는 많은 일들이 예상하지 못한 시행착오를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기본적인 출결 점검이나 과제 수행, 평가 등 대면수업으로 진행되는 일들이 온라인 환경에서는 ... ...
사상 첫 온라인에서 맞는 과학의 달
동아사이언스
l
2020.04.01
게임이나 미션 해결을 통해 수학과 소프트웨어(SW)를 배우는 ‘도전 수학·소프트웨어
학습
미션’도 진행한다. 집에서 과학을 체험하는 사이버 과학체험 콘텐츠도 공개된다. 국립과학관의 전시물을 소개하는 ‘랜선 과학관 나들이’와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가 들려주는 연구현장의 모습인 ... ...
저소득층·장애인 등 정보화취약계층은 '온라인 개학' 사각지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3.31
위해 ‘신학기 개학 준비 추진단’에 ‘원격교육 준비·점검팀’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e
학습
터나 EBS온라인클래스 등 원격교육 시스템 모니터링, 원격교육 시범학교 운영 지원 및 현장 점검 등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발생가능한 문제들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학생 원격수업 준비상황 ... ...
호주 스타트업, 코로나19 AI로 판독하는 플랫폼 무료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31
의사는 이를 토대로 최종 판정을 내리면 된다. 이렇게 얻어진 임상 결과는 다시 AI가
학습
하게 된다. 디텍트EDX는 제너럴일렉트릭(GE)과 아마존 등과 협업해 코베드 플랫폼을 누구나 인터넷에서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형식으로 무료 제공하기로 했다. 디텍트ED-X 측은 방사선 전문의의 진단을 ... ...
전세계 학교 휴업 확산인데…대만·싱가포르 등 개학한 국가들
연합뉴스
l
2020.03.30
"학교 폐쇄의 가장 큰 걸림돌은 형평성 문제"라고 지적했다. 모든 사람이 온라인
학습
을 위한 노트북이나 태블릿을 가진 것은 아니며, 이와 무관하게 원격 교육은 어린이들에게 어려운 일이라는 것이다. 저소득층 가정은 무상급식을 놓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학교에서 제공하는 감독과 서비스가 ... ...
[포스텍스타트업100] 웹툰에 동작을 입히는 AI 애니메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20.03.30
바탕으로 웹툰 속 캐릭터가 움직이는 모습을 구현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행동을
학습
한 AI가 캐릭터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구사해준다”며 “주마다 나오는 웹툰의 경우 바로바로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기 힘든데, 이 플랫폼을 사용한다면 쉽게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의 ... ...
교수도 학생도 낯설다…코로나19 여파로 살펴본 과기원 원격수업 실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6
적극적으로 익히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4대 과기원은 현재 각자
학습
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운영중이다. KAIST는 ‘케이엘엠에스(KLMS)’, GIST는 ‘젤(GEL)’, DGIST와 UNIST는 ‘블랙보드(Blackboard)’라는 이름의 시스템을 활용한다. DGIST는 가장 먼저 1학기 전체 수업을 원격수업으로 ... ...
'과학자 영입해봐야'…21대 총선에 과학자 설 곳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5
출신 인사를 영입했지만 정작 원내에서 별다른 수완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정치권의
학습
효과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오히려 20대 국회에서도 실제 과학계에 영향력을 적극 행사한건 정치권 출신 인사들이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과학계도 대선과 총선 등 정치 이벤트가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