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옆면
경사면
사이드
가장자리
변두리
횡면
스페셜
"
측면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
2018.11.10
하지만 강박적인 열정을 갖게 되면 적어도 일을 더 열심히 하게 될 테니까 긍정적인
측면
이 있을 것 같기도 하다. 그러면 좋겠지만 캐나다 퀘백대 심리학 교수인 로버트 발러랜드 등의 연구에 의하면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세 달 간격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비타민D 부족은 높은 사망률과 암,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뇌 기능장애 등 다양한
측면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해양 오메가3지방산은 DHA와 EPA를 말하는 것으로 들기름이나 아마씨기름에 많이 들어있는 오메가3인 리놀렌산과 구분하기 위해 굳이 ‘해양’을 붙인 것이다. 인체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이르는 분량으로 책 제목이 된 1부보다 더 많다. 게다가 다루는 주제가 적어도 과학의
측면
에서 심오하다. 즉 신경퇴행성질환인 리티코-보딕이라는 풍토병에 대한 내용으로, 오늘날 고령사회가 되면서 신경퇴행성질환의 심각성이 점점 더 부각되는 상황에서 많은 영감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유전자의 결정적인 결함은 말과 명료한 발음과 많은 관련을 가질 뿐, 언어의 더 복잡한
측면
까지 설명해주지는 않는다”는 게 옳았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호모 사피엔스는 어떻게 언어구사에서 독보적인 종이 됐을까. 보노보 칸지는 때로 뭔가를 말하려고 시도하지만 발성기관의 구조적인 한계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BMI가 문제가 있다는 건 잘 알려져 있지만 필자는 주로 근육과 지방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측면
만 봤다. 즉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보니 근육질인 사람도 과체중이나 비만으로 분류될 수 있고 근육은 적고 지방은 꽤 많은 사람이 보통체중의 범위에 들어가기도 한다. 그런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시장에서 고기를 사는 건 궁극적으로 개인의 결정이므로 여기에 개입해 영향을 미치는
측면
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생산자가 마케팅으로 구매를 부추기는 ‘나쁜 넛지(육류소비를 줄이는 게 목적인 관점에서 이렇게 표현했다)’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이건 정부의 개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있고 그걸 알려면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해야 하는지’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한
측면
을 알면 두세 가지 새로운 궁금증이 생기게 만드는 게 위대한 질문 아닐까. 학술지 ‘사이언스’ 6월 29일자에는 다세포생물의 기원에 대한 최근 수년 사이의 연구결과를 소개한 심층기사가 실렸다. 다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알아보기도 어렵다) 오른쪽은 3만여 년 전 현생인류가 남긴 사자 그림으로 사실적 묘사의
측면
에서 현격한 차이가 난다. 기억만으로 이런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건 비범한 재능이다. - ‘사이언스’ / 위키피디아 제공 그림 솜씨가 꽤 좋은 사람이라도 기억만으로 이처럼 디테일이 살아 있는 사실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없던 신인류다! 카페와 스마트폰이 일상에 미치는 영향이 워낙 크다 보니 부정적인
측면
도 무시할 수 없다. 흥미롭게도 둘의 공통적인 부작용이 수면장애다. 스타벅스는 커피의 성격을 기호식품에서 음료로 바꿔놓았고 이제 사람들은 시도 때도 없이 카페와 길거리에서 커피를 마신다. 즉 카페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노세보 효과 때문이라면 심리적 스트레스 수치가 높을 것이다. 그러나 조사 결과 심리적
측면
에서 두 그룹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미국 컬럼비아대 면역학자 아르민 알레디니 교수는 셀리악병이 아니면서도 글루텐에 민감하다고 주장하는 환자 80명의 혈액을 조사한 결과 이들 대다수가 정말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