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독관
간부
지휘자
스페셜
"
책임자
"(으)로 총 479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꾸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단장은 “의사가 연구
책임자
, 기초연구자가 세부과제
책임자
가 되는 형식”이라며 “연구자들이 허심탄회하게 소통하고 공동 연구를 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학제 간 연구, 융합연구를 위해서는 좋은 기획이 나올 수 있도록 장기적인 투자가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변화의 흐름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품과 연구를 함께 볼 수 있는 수석연구원급
책임자
를 둬 학계를 정기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한 예산과 조직도 지난해부터 따로 마련했다. 한 달에 한 번꼴로 과제를 안건으로 올려 검토하고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면 학계에 먼저 과제를 제안하기도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융통성을 보장했으며 △평가위원 10명 모두를 농·생명분야 전문가로 위촉해 과제
책임자
들이 연구평가에 수긍하도록 했다. 사업단의 화려한 연구 성과의 배경에는 이런 제도적 뒷받침이 있었던 셈이다. ● 감자생산성 높여 식량문제 해결이 목표 정 단장은 해외 식물자원을 모으는 일을 앞으로도 ... ...
“신약 개발, 미국의 위기가 한국의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0.05.20
2001~2007년 LG생명과학 상무이사 2005~2007년 지식경제부 바이오스타 당뇨병치료제 연구
책임자
2007~2008년 한국화학연구원 항암제 센터장 2008년 (현)지노스코 CTO(보스턴)겸 오스코텍 부사장 --------------------------------------------------------------------------------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와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성과를 확대한다. ●“기초과학 한다고 착각하지 말아야” 오 단장은 미생물사업단의 총
책임자
다. 이러다 보니 여러 과학자들에게 정부의 연구비를 나누어 주는 역할도 맡는다. 오 단장은 이 과정에서 많은 과학자들과 수없이 많은 회의를 거친다. 이 과정에서 전략적인 연구목표 분석도 반드시 ... ...
국가 신약개발 진두지휘할 협의회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3.16
협의체를 만들기로 약속했다. 사진 제공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소 정부 각 행정부처 실무
책임자
인 과장급 인사들이 한 자리에 모여 ‘신약개발을 위한 범부처적 협의체’를 만들기로 했다. 그동안은 정부부처 별로 연구개발 목표와 역할이 달라 국내 신약개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 ...
“화이트 바이오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0.01.25
연구 하자 △공동 연구할 때 적극 참여하도록 원 소속기관의 인사평가에 공동연구
책임자
의 의견 반영하자. 이귀로 센터장은 1976 서울대 전자공학과 학사 1983 미국 미네소타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 1986 금성반도체 MOS 기술부장 1986 - 현재 KAIST 전자전산학부 교수 1993.2 - 1994.12 정보통신연구관리단(현 ... ...
“바이오는 기다림의 산업…글로벌 네트워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07.07
유럽지역 마케팅 총괄
책임자
2002~2008 태국 노바티스 대표이사 겸 동남아시아 다사업부 총
책임자
2008~현재 한국 노바티스 대표이사 2009~현재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KRPIA) 9대 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향후 ... ...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5.06
쉽게 바뀌기 어려워요.” 미국립보건원(NIH)이 지원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보면 연구
책임자
가 의사인 경우가 많다. 진료현장에 있다보면 필요한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가 많기 때문이다. 과학자는 아이디어를 실제 연구로 옮기는 작업을 도울 수 있다. 의사 과학자 소통 위한 자리 마련 필요 방 교수는 ... ...
이전
44
45
46
47
48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