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스페셜
"
유전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당뇨 환자 삶 바꾼 100년
동아사이언스
l
2021.08.01
발견 100년 후에도 여전히 많은 과학적 도전 과제가 남아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유전자
검사와 자가항체 분석을 통해 제1형 당뇨병을 앓을 수 있는 사람을 식별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질병 발병을 지연시킬 수 있다. 사이언스는 “언젠가 완전히 예방이 가능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또 제1형 ... ...
[표지로 읽는 과학]'투 스트라이크' 두 종의 치료제로 간암을 잡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31
렌바티닙에 내성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실험에서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가 작동하면 렌바티닙이 FGFR을 억제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약물의 효과도 낮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쥐 실험에서 EGFR 억제제인 ... ...
[올림픽의 과학]약물은 옛말…걸리지 않는 도핑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유전자
도핑을 금지목록 리스트에 포함시켰다. 과학자들은 신체 부위의 세포를 조사해
유전자
도핑 여부를 가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또 다른 한편에선 선수의 뇌를 자극해 운동 능력을 잠시 끌어올리는 '브레인 도핑' 가능성이 언급된다. 실제 미국에서 스키점프 선수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 ...
캐나다서 8억9000만년 전 해면동물 흔적 발견…最古 화석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네이처 제공 이번 화석 발견은 동물의 기원을 밝힐 새로운 증거가 됐다. 과학자들은
유전자
(DNA)의 진화에 걸리는 시간을 토대로 동물 발생 시기를 역추적하는 분자시계 분석을 통해 동물의 기원을 찾아 왔다. 이를 토대로 예측되는 동물의 발생 연대는 8~10억 년 전이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물적 ... ...
2030년대 국내서 수혈용 인공혈액 대량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생산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에 따르면 인공혈액 관련 기술은 혈액제제, 세포
유전자
치료제 등 첨단바이오 산업 기술 발전으로 파급돼 산업의 활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혈액은 혈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와 혈장으로 구성된다.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 생성이 인공혈액 기술의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콧속 섬모세포에서 복제·증식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2021.07.28
세포 군집(SARS-CoV-2high)을 발견했다(A, B). 코로나19 초기 환자의 비강 섬모세포를 단일세포
유전자
발현 측정기법(C)과 세포도말 면역 형광염색(D)을 통해 추적 관찰한 결과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 초기에 섬모상피세포 내에서 복제‧증식된 후 상피세포와 함께 소멸됨을 확인할 수 있다. IBS 제공 ... ...
감염자 2명 중 1명 변이 감염, 비수도권 33%집단감염…돌파감염 얀센 가장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나타났다. 방대본이 18일부터 24일까지 국내 확진자 중 22.5%인 2249명의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자
를 분석한 결과 54.8%인 1233건이 주요 변이바이러스로 나타났다. 이중 델타 변이가 108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알파 변이가 153건으로 나타났다. 베타와 감마 변이는 없었다. 전체 대비 델타 변이 검출률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회춘하면 코로나19도 가볍게 앓을까
2021.07.27
폐 상피세포 배양액에 섞자 코로나19바이러스가 침투할 때 인식하는 에이스2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이 크게 늘었다. 노화세포가 바이러스 침투를 돕는다는 말이다. 세놀리틱이 고령자의 코로나19 위험성을 낮추는지 확인하려면 동물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생쥐에서도 사람과 코로나1 ... ...
미생물이 플라스틱 만드는 과정 처음 관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PHB)를 만드는 미생물 ‘쿠프리아비두스 네카로트’와 이 미생물의 PHB 합성 대사회로
유전자
를 가지도록 재조합한 대장균을 분석했다. 3차원 홀로그래픽 현미경 기술은 여러 각도로 레이저를 쏘아 산란된 빛을 관찰해 굴절률을 관측하고 이를 토대로 세포 내부 구조 등을 밝혀내는 기술이다. ... ...
코로나19 중증 가능성, 콧속 세포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경증 환자의 세포에서는 초기 면역에 관여하는 인터페론 단백질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서는 이 반응이 훨씬 약했다. 또 중증 환자는 염증을 촉진하는 면역세포인 고염증성 대식세포의 양이 더 많았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의 초기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