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요소
성분
처소
소재지
위치
스페셜
"
소재
"(으)로 총 1,150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멍게 먹지 말고,지구에 양보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수준 높은 연구시설을 활용해 아직 과학자의 손이 닿지 않은 자연의
소재
를 연구하고 친환경 플라스틱 개발을 통해 지구환경 보존에 관심 있는 학생을 기다리고 있다. ▼ 포스텍 친환경생체모사재료 연구실 보러 가기 https://youtu.be/JUZQN-FlDbM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 ...
감염병 예측 전문가들, 거리두기 유지해야 확진 줄어든다는데 '재확산 조짐'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단정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문제는 100명 이상의 집단감염이 발생한 충남 아산
소재
귀뚜라미보일러 제조공장과 경기 남양주시 진건읍 산업단지 공장 사례와 같은 변수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특히 설연휴 가족모임을 통한 집단감염이 현실화하면서 우려가 더 커지고 있다. 코로나19의 잠복기가 ... ...
[
소재
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
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박성흠 부경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해외 수입에 의존하던 CMOS 이미지 센서용 근적외선 차단 필터를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했을 뿐 아니라 성능을 더 향 ... 셈입니다. 동아사이언스는 미래
소재
연구단과 함께 앞으로 한국의
소재
산업을 이끌 미래
소재
의 깜짝 놀랄 세계를 연재로 소개합니다 ... ...
방역당국 “코로나 확진 급증 일시적인지, 재확산인지 판단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경기 남양주시는 17일 진건읍 진관산업단지
소재
한 공장에서 직원 114명이 무더기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들 중 상당수는 외국인 근로자로 대부분 기숙사에서 합숙 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수본은 다만 설 연휴 직후 검사자 ... ...
[이덕환의 과학세상]목표 상실한 해상풍력 5대 강국의 꿈
2021.02.17
끝났다. 해상풍력이 지역경제에 대한 기여는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고도의 첨단
소재
와 기술로 만들어야 하는 100m가 넘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와 블레이드 제작은 물론이고 설치에도 지역주민의 참여는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물론 지역주민의 복지를 위한 지원이 목적이라면 얘기가 ... ...
거리두기 완화 이틀만에 코로나19 신규 확진 621명 '급증'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비수도권 확진자는 총 175명이다. 지난달 29일 189명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충남 아산
소재
귀뚜라미보일러 제조공장에서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가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지난 13일 첫 확진자가 나온 뒤 사흘 만에 최소 100명 이상 확진자가 발생했다. 설 연휴 가족모임을 통한 집단감염도 나왔다. ... ...
사람 귀 닮은 음성인식 센서 세계 최초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5
이건재 KAIST 신
소재
공학과 교수팀이 공진 현상을 이용해 소리를 증폭시키는 달팽이관 속 기저막을 모사해 목소리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공진형 유연 압전 음성 센서’를 개발했다 ... 실렸다. ※공진형 유연 압전 음성 센서의 원리를 나타낸 동영상. 이건재 KAIST 신
소재
공학과 교수 ... ...
1만번 접었다 펴도 '괜찮아'…접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투명전극
소재
로 인듐주석산화물(ITO)이 주로 사용됐는데, 이
소재
가 여러 차례 접거나 휘면 깨지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진은 ITO를 대체하기 위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가 박힌 폴리이미드(PI)로 이뤄진 투명 전도체 필름(SWNT-PI)을 개발했다. 기존에도 단일벽 ... ...
충방전 횟수·고속충전 늘어나도 대용량 유지하는 새 전기차 배터리 첨가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수 있어 화학적으로 불안정하다. 연구진은 이런 고용량 리튬이온전지의 양극과 음극
소재
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동시에 불산을 제거할 수 있도록 리튬이온이 지나다니는 통로인 전해액에 사용할 새로운 첨가제를 개발했다. 기존에 전해액 첨가제로 사용되던 바이닐렌 카보네이트(VC) 구조를 ... ...
[프리미엄 리포트]왜 애플카에 열광할까
과학동아
l
2021.02.13
사용하는 리튬인산철 배터리로 크게 분류된다. 리튬인산철은 장점과 단점이 분명한
소재
다. 이상민 한국전기연구원 차세대전지연구센터장은 “리튬인산철은 가격이 저렴하고 열안전성이 높아 (외부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 폭발할 가능성이 낮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아 운행거리가 짧다고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