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퀴즈] 문어는 왜 서로 잡아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16
유해진의 통발 도전! 된장과 돼지 비계를 좋아하는 문어의 정체 3. 문어 게놈 첫 완전
해독
※ 편집자 주 과학이 어렵고 딱딱한가요? 과학 상식과 생활 정보를 머리 속에 쏙쏙 들어오도록 OX퀴즈로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최신 과학 정보부터 생활에 꼭 필요한 필수 정보까지! 새로운 형식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나팔꽃을 전통적인 원예 식물로 귀하게 여기는 것 같다. 지난해에는 나팔꽃의 게놈을
해독
하기도 했다. 논문을 보면 나팔꽃(Ipomoea nil)의 영문명이 Japanese morning glory(일본나팔꽃)이다. 그럼에도 재배 역사를 기술한 걸 보니 8세기에 중국에서 약용식물로 들여와 원예식물로 ‘용도변경’을 했다. ... ...
[연구자 나고야의정서 가이드②] 기초연구와 상업화 연구, 똑같이 적용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28
먼저 동물 사체에서 결핵균을 추출해 배양해야 한다. 그리고 결핵균의 유전체를
해독
해 항체에 대한 저항성을 갖게 된 유전적 요인을 분석하고, 역학 조사를 통해 핵심 전파 경로를 밝힐 계획이다. 아프가니스탄, 브라질 등과 함께 결핵 고위험국가 중 하나인 콩고공화국은 나고야 의정서 ... ...
[연구자 나고야의정서 가이드①] 국제 공동연구도 사전허가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23
또는 그 밖에 유전적 기원이 되는 유전물질 등 생물자원 · 유전정보: 생물의 유전체를
해독
해 얻은 DNA 염기서열 정보 특히 국내 연구진이 활용하는 생물 유전자원 출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은 나고야의정서 비준국들 중에도 세부 규정이 매우 엄격한 편이다. 장영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목숨 위협하는 전이성 암 환자 500명 유전체
해독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20
부위가 나타나 있다. 특정 암이 다른 부위로 전이된 암 환자 500명의 DNA와 RNA 염기서열을
해독
한 결과다. 각 암이 어떻게 다른 부위로 퍼져나가는지 그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했다. 전이는 암 환자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암 유전체 아틀라스’ 프로젝트는 발병 부위에서 잘라낸 종양의 ... ...
비트코인 원천기술, “블록체인, 너 대체 뭐니?”
동아사이언스
l
2017.08.19
채굴하는 사람을 ‘채굴자’라 부른다.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여러 채굴자가 함께
해독
했다면 기여도에 따라 상금을 나눠갖는다.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특정 집단이 블록의 정보를 채굴하면 그 즉시 모든 채굴자들에게 정보가 공유된다. 누군가의 컴퓨터 속 블록을 해킹해 공격해도 다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한다. 이를 먹는 우리의 소화 효소에도 변화가 생길 수밖에 없다. 오늘날 인간의
해독
체계와 효소 화학이 대형 유인원들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알려진 바는 극히 적다. - 리처드 랭엄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70년대 흑백TV 시절 지상파에서 방영한 ‘미드’ 가운데 ‘타잔’이 지금도 기억난다. ... ...
내 뇌에 너의 기억을 심으면 나는 너일까, 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미 해외에서는 뇌의 전기신호를 컴퓨터로
해독
해 의도와 감각, 동작 등의 정보를 읽어내는 데 성공한 사례가 있다. 사람의 생각으로 로봇팔을 움직여 물건을 집어 들거나 뇌에서 읽은 신호를 운동신경 자극으로 변환해 마비된 팔을 움직이는 일 등이 실험실 ... ...
‘황금박쥐’가 멸종위기종이 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7.13
박 교수팀은 충북 단양 고수동굴에서 발견된 붉은박쥐 사체에서 DNA 시료를 얻어 게놈을
해독
했다. 또 다른 박쥐 7종과 사람과 쥐, 소나 말 등 육상 포유동물 6종의 게놈과 비교해 붉은박쥐의 고유 특징을 찾았다. 분석 결과 ‘황금박쥐’를 만드는 붉은 털을 만드는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었다. 독성 ... ...
멸종위기 곤충을 보존하라!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7.12
타닌과 알칼로이드 같은 독성 물질을 갖고 있어요. 반면 애벌레는 식물의 독성 물질을
해독
하는 능력이 있지요. 따라서 이 물질을 이용하면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천연 약을 개발할 수 있어요. 또 미래의 중요한 식량 자원이 될 것으로도 보고 있답니다. 꼬리명주나비 애벌레는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