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국
어메리카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america's
america
america’s
뉴스
"
아메리카
"(으)로 총 495건 검색되었습니다.
4년 전 칠레 대지진, 물이 규모 키웠다
과학동아
l
2014.03.30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28일자에 발표했다. 2010년 칠레 대지진은 나스카 판이 남
아메리카
판 아래로 끼어들어가며 발생했다(가운데 하늘색이 나스카판) - 미국지질조사국(USGS) 제공 연구팀은 다양한 관측 방법을 통해 구성한 고해상도 3D 자료를 분석한 토대로 지진 당시 충돌한 두 판 사이의 ... ...
땅에서 움직이는 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4.03.12
많이 들고 환경 파괴 논란도 많은 기존 운하의 단점을 보완한 개념이다. 실제로 중앙
아메리카
파나마 운하의 경우 갑문 설치와 수로공사 등에 막대한 비용이 들었을 뿐 아니라 연간 km당 200억 원의 관리 비용이 투입되고 있다. 이렇다보니 파나마운하청은 2012년 운행요금을 15% 인상한 데 이어 ... ...
사라지고 있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과학동아
l
2014.03.06
개인 게놈 프로젝트인 ‘1000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모은 유럽인, 아시아인, 아프리카인,
아메리카
인 등 현대인의 게놈 1004명의 DNA를 분석하고, 그 안에서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추적한 결과를 네이처 1월 3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몇 개의 질병 유전자와 털과 피부 등에 관여하는 케라틴 ... ...
[신나는 공부/꿈을 만나다]한국체육과학연구원 정진욱 박사
동아일보
l
2014.02.18
소치 올림픽에서 강호 일본과 러시아 대표팀을 이겼다. 봅슬레이팀은 1월 ‘2013∼2014
아메리카
컵’에서 처음으로 4인승 금메달을 따는 등 결실을 보기도 했다. “체육과학연구원은 운동선수들이 기존 실력에서 1%의 기량을 더 발휘하도록 도와요. 이미 운동선수들은 체력적으로나 기술적으로 99% ... ...
수분, 피부가 아니라 열대우림에 양보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2.09
바탕으로 검은 색 그림자를 길게 드리운 나무 한 그루. 이번 주 ‘네이처’는 남
아메리카
의 브라질과 페루 사이에 위치한 에이커 지역을 표지에 실었다. ‘수분’이 피부 뿐만 아니라 열대우림에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결과를 소개하기 위해서다. 이번 주 표지 논문은 수분이 아마존 ... ...
비행기야, 새야? 나뭇가지에 사뿐히 앉은 무인기
동아사이언스
l
2014.02.03
모습을 그대로 모사한 것이다. 연구진은 수십 종의 새가 착륙하는 모습을 관찰한 뒤 ‘
아메리카
황조롱이’를 모사해 무인 항공기의 다리에 적용한 것. 이번에 개발된 무인 항공기의 다리는 실제 새처럼 뒤뚱뒤뚱 걸을 수도 있다. 연구를 이끈 바르가브 가자르 씨는 “무인 항공기가 날아가서 ... ...
중국發 대기오염, 알고보니 전세계 골칫거리
동아사이언스
l
2014.01.22
1주 이상 지속되기도 한다”라고 밝혔다. 또 그는 “중국발 에어로졸 때문에 북
아메리카
와 열대지방의 기후변화가 발생해 예전보다 강한 폭풍우와 사이클론이 자주 발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위암 안 걸리려면 헬리코박터 균과 '궁합' 맞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4.01.15
온 헬리코박터균은 아프리카계 주민의 위장에서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아메리카
원주민의 위장에서는 암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슈나이더 교수는 “헬리코박터균은 같은 지역에서 유래한 인간과는 함께 진화하면서 암을 일으킬 위험성을 낮췄지만 출신이 다를 경우 서로 ... ...
천 년 전에도 두개골 수술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5
1000년부터 1250년 사이에 생성된 것으로 보이는 시신 32구를 발굴해 분석한 결과를 ‘
아메리카
저널 오브 자연인류학’에 최근 게재했다. 당시 천공술을 받은 사람의 두개골. - Danielle Kurin 제공 연구팀은 시신의 두개골에서 총 45개의 구멍을 발견했다. 이 구멍들에는 여러 특징이 있었다. 우선 ... ...
21세기에 웬 흑사병? 3개 대륙 현재진행형
동아일보
l
2013.12.13
박멸된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페스트균은 지금도 분포가 희박하지만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에서 여전히 발병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김정안 기자 jkim@donga.com [화제의 뉴스] - 10대 용인 살인마 사형 구형 - 씁쓸 JP…기념관 재원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