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뉴스
"
손가락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테마가 있는 영화] 별에서 온 그대 ‘지구를 지켜라!’
2017.02.18
별로 안 보고 싶은)이라는 얘기거나, 영화 마케팅의 실패 사례를 언급할 때 항상 첫
손가락
으로 꼽는 작품으로 등장한다는 게 문제겠지만. 말도 많고 탈도 많아 보이는 이 영화의 정체가 무엇인지 차근차근 살펴보자. (*아래에는 ‘지구를 지켜라!’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 ... ...
밸런타인 초콜릿이 충치 예방한다?
포커스뉴스
l
2017.02.14
유디치과 목동파리공원점의 박대윤 대표원장은 “세균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깨끗한
손가락
으로 칫솔모 사이를 살짝 벌려 흐르는 물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정수기의 온수나 끓인 물로 칫솔을 가볍게 헹군 후 칫솔은 충분히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
얼음물 반신욕하면서 일하는 여성
팝뉴스
l
2017.02.03
지경일 것이다. 그런데 이 여성은 여유롭다. 미소를 보인다. 얼굴은 편안하다. 두
손가락
으로 V를 그려 보인다. 이 불꽃 여성은 차를 마시면서 컴퓨터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냉동 반신욕을 하면서 업무 혹은 공부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사진은 러시아의 SNS에서 처음 등장해 영어권 ... ...
괴물 같은 대형 새우 잡혀
팝뉴스
l
2017.01.30
과장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오른쪽 엄지
손가락
은 심한 과장이 아니라는 걸 증명한다.
손가락
에 비교해 봐도 새우는 보기 드물게 큰 것이 사실이다. 새우라기보다는 ‘괴물’의 느낌을 주는 게 사실이이서 사진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크게 주목 받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외계인의 손 발견되었다? 진위논란
팝뉴스
l
2017.01.23
‘타일러 쿠스코‘라는 이름의 유튜버가 공개한 화제의 영상을 보면 긴 손뼈가 나온다.
손가락
은 셋이다. 자신들의 정체를 정확히 밝히지 않는 발견자 단체는 분명한 외계인의 손이라고 주장한다. 발견 장소는 페루 쿠스코의 한 터널이라고 한다. 더 이상의 상세 정보는 알려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스마트폰에서 꾸미는 나만의 수족관, ‘어비스리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8
(Abyssrium)’이다. 기자가 추구하는 스마트폰 게임답게 게임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손가락
으로 ‘톡톡’ 치기만 하면 된다, ‘아무 곳이나’. 스마트폰으로 이리저리 캐릭터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많이 봤지만 톡톡 치는 걸로 게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은 처음 봤다. 알자마자 정말 획기적인 ... ...
개를 키우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절대 기쁨’ 몇 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많이 동원되는데, 미국의 경우 미국켄넬클럽(반려견과 관련된 협회 중 세계에서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형 개 협회입니다)에서 자격증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캐나다에서는 성요한의료단(St John Ambulance)에서 자격 시험을 봅니다. 그 외에 영국에서는 치료반려동물(PAT, Pets As Therapy)에서 자체 훈련을 ... ...
피부처럼 유연한 박막트랜지스터(TFT)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뛰어나고 길게 늘어나도 전기전도도에 변화가 거의 없다. 신축성 TFT를 관절에 붙인 채
손가락
을 움직여도 연결된 LED 전구의 불빛은 여전히 밝은 것을 볼 수 있다. - 사이언스 제공 투명하고 얇은 데다 고무처럼 자유자재로 늘어나는 고성능 초박막트랜지스터(TFT)가 나왔다. 몸에 붙여 사용할 수 있는 ... ...
뇌가 복잡해지는
손가락
사진
팝뉴스
l
2017.01.05
높은 이미지입니다. 포크를 잡은
손가락
다섯 개가 모두 꼬였습니다.
손가락
은 다른
손가락
위에 올라가고 모두 접혀 있습니다. 이런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요? 많은 해외 네티즌들이 따라하다가 통증을 호소하면서 포기했다고 합니다. 따라하지 말기를 권고합니다. 일부 해외 네티즌들은 결정적인 ... ...
KAIST 연구팀, 버벅대지 않고 전력 효율 높은 반도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04
반도체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할 때, 화면이
손가락
속도를 따라지 못하고 ‘버벅’대는 현상을 종종 겪는다. 최첨단 기술로 버무린 기계지만 이럴 때마다 짜증이 이만저만 아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최양규 전기 및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