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학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
성대
뉴스
"
성균관
"(으)로 총 73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에 악셀 팀머만 단장·박남규 교수·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고정환 본부장). 과학기자협회 제공. 한국과학기자협회는 14일 박남규
성균관
대 교수와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장(부산대 특훈교수),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를 과학과 의학 기자들이 뽑은 올해의 과학자상에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학의학 분야 취재 활성화와 보도 ... ...
공학과 뇌과학, 마케팅을 혁신할 10명의 청년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교수는 암 예방 영약역할을 연구했다. 인문사회에서는 목표의 동기부여를 연구한 구민정
성균관
대 교수(39)와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융합연구를 한 윤장혁 건국대 교수(39)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김성연 교수는 “세계적 학자가 되도록 격려하는 것으로 알고 연구에 전념해 인정 받는 신경과학자가 ... ...
전기車 전원 ‘슈퍼 커패시터’ 1000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크기가 1000배 더 작아진 고성능 슈퍼 커패시터를 만들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성균관
대 화학공학과 박호석 교수팀, 미국 드렉셀대 유리 고고치 교수 공동 연구팀은 고주파수 영역에서 부피 당 높은 에너지 용량을 가지는 슈퍼커패시터 기술을 확보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진은 2013년 고고치 ... ...
[표지로 읽는 과학] 분자에 주목하라 '보텀업 세포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개, 염기쌍 53만1000개를 가진 단세포 인공생명체를 만든 것이다. 올해 5월에는 서강대와
성균관
대, 미국 하버드대 등 한미 연구진이 광합성으로 생체에너지(ATP)를 생산하고 대사 활동을 하는 인공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실렸다. 실제 ... ...
깃털처럼 가볍고 튼튼한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성균관
대-KIST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초경량 소재. 강아지풀에 올려 놓을 수 있을만큼 가볍다.
성균관
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깃털처럼 가볍고 튼튼한 신개념 경량소재를 개발했다. 항공 ... 소개됐다. 그래핀 버블로 구현된 2차원 정렬 구조체 및 3차원 집적구조체 모습.
성균관
대 제공 ... ...
재생 '인조근육’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성공했다. 추가연구를 거치면 의료기술 발전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성균관
대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김근형 교수팀은 살아있는 살아있는 근세포를 포함한 인조 ‘나노-근섬유’를 실제 근육처럼 한 방향으로 배양하는 기술을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최근 들어 다양한 ... ...
고성능 태양전지 단숨에 구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알려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손쉽게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성균관
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김정규 교수, 연세대 화공생명공학부 박종혁 교수 공동연구진은 ‘급속 불꽃 연소 공정 기반 금속산화물 도핑 기술’을 적용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빠르고 손쉽게 ... ...
우주팽창 설명한 '허블의 법칙'이름 바뀐다…새 이름 ‘허블-르메트레 법칙’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말이 안 된다”고 폄하해 주목을 받지 못했다. 논문은 1931년에 영어로 번역됐다. 박일흥
성균관
대 물리학과 교수는 “르메트레는 빅뱅우주론을 제창한 조지 가모브 이전에 우주가 세포가 분열하듯 팽창한다는 물리적 관점을 제시했다”며 “이 같은 발상에 대해 아인슈타인이 비웃곤 했던 것으로 ... ...
커피얼룩은 왜 고리모양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원인을 밝혔을 때 학술지 ‘네이처’에 논문이 실릴 정도로 이상한 현상이다. 원병묵
성균관
대 신소재공학부 교수(왼쪽)와 김진영 연구원이 커피를 들고 자세를 취했다. 재미로 시작한 연구지만 응용 가능성이 많다. -윤신영 기자 시카고대 팀은 커피 방울 가장자리의 액체(용매)가 다른 곳보다 ... ...
QLED, 성능 떨어뜨리는 ‘불균형’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5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준혁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연구원과 차국헌 교수, 배완기
성균관
대 나노공학부 교수팀은 양자점발광소자의 성능을 떨어뜨리고 수명을 줄이는 원인이 내부 전자 등 입자 사이의 불균형에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 미국화학회가 발간하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ACS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