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셜미디어, 인생 파트너 선택에 '혼란' 부추겨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연구그룹인 인도 에토필리아연구재단은 2~5일 체코 프라하에서 열리고 있는 ‘실험
생물
학회 연례회의’에서 소셜미디어와 데이트앱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파트너 후보들은 현실을 왜곡할 수 있고 젊은 사람들의 파트너 선택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 ...
'난자 냉동' 가능시기 정확히 예측할까…난모세포 긴 수명 실마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단백질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지난달 2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세포
생물
학'에 공개했다. 수학적 모델을 사용해 단백질의 수명을 계산한 결과 이 '장수 단백질'은 분자의 50%가 분해되는 반감기가 100일 이상이었다. 100일은 생쥐 수명의 약 13%에 해당하는 시간이다. 단백질 일부가 쥐 일생 ... ...
생물
의 행동 진화, 세포의 유전자 발현만으로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준호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
생물
인 예쁜꼬마선충의 유전자와 행동 분석을 통해 특정 세포의 유전자 발현 조절만으로 새로운 형질이 생겨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 ...
지방세포, 줄기세포로 되돌려 비만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1
히포 신호전달체계의 얍타즈(YAP/TAZ) 단백질에 주목했다. 히포 신호전달체계란 다세포
생물
의 조직과 신체 기관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체계다. 연구팀은 얍타즈 단백질을 억제하는 '라츠1/라츠2(LATS1/LATS2)' 유전자를 실험쥐의 지방세포에서 결손시켰다. 이후 ... ...
[표지로 읽는 과학] 화산재로 연조직까지 보존된 삼엽충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6.30
기간에 걸쳐 2억7000만년 동안 얕은 바다에서 번성하다 페름기 대멸종기에 자취를 감춘 고
생물
이다. 프랑스 푸아티에대 연구팀이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28일 모로코 하이아틀라스 산맥에서 화산재에 의해 연조직이 보존된 삼엽충 화석을 발견하고 분석한 결과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조직은 뼈, ... ...
[동물do감] 동물 사체 먹어 양떼 지키는 거대 도마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남부에 서식하는
생물
종들의 식습관을 분석했다. 구더기의 주식인 동물 사체를 치우는
생물
종을 찾기 위해 수백 마리의 죽은 쥐들을 놓아 두고 5일 동안 관찰했다. 분석 결과 연구팀은 히스 고아나란 도마뱀이 유독 쥐의 사체를 빠르게 발견하고 신속하게 먹이로 섭취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STEPI, "지방시대 구현을 위해 ‘RISE’ 주목해야"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현재까지 국가 종합 1위를 45번 달성했다. 올해 한국대표단은 수학·물리·화학·정보·
생물
·천문·지구과학·중등과학·물리토너먼트 등 총 9개 분야 대회에 출전한다. 가장 먼저 지난 3일부터 10일까지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아시아물리올림피아드에서 대표학생 8명 전원이 메달을 수상했다. ... ...
[푸드테크 뜬다]⑤ 미
생물
로 만든 대체단백질, 우주식량으로도 쓰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것 같다. 또 환자와 노인, 아동 등 사람에 따라 필요한 아미노산 비율이 다 다른데 미
생물
을 이용하면 조절하기가 쉽다. 나중에 우주식량의 베이스로도 쓰일 수 있을 것이다." 코리네박테리움을 제품화해 만든 반려견용 간식. 헤모랩펫 ... ...
"최후의 매머드 멸종, 근친번식 탓 아냐"...기존 학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현재 살아 남은 다양한
생물
개체군의 운명을 미리 보여준다"며 "현재 진행 중인
생물
다양성 위기와 한 종이 개체수 병목 현상을 겪을 때 유전적 관점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매머드의 멸종 직전 마지막 300년에 대한 유전체 ... ...
생물
교과서 '정설' 뒤집었다…곤충 혈구세포도 산소 전달 관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초파리 유충의 혈구세포가 체내 산소분압을 조절하는 기능을 최초로 규명한 본 연구는
생물
학 교과서를 바꿀 내용"이라며 "곤충을 비롯한 무척추동물의 호흡 발달과 진화를 이해하는 데에 연구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