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선
방사
복사선
뉴스
"
방사능
"(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팸퍼스 논란]엄마 마음 흔드는 육아용품 기사에 과장은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2.13
최근에는 맘카페에 영국산 ‘압타밀’ 분유(독일산은 괜찮다는 주장)에서
방사능
물질인 세슘이 검출됐다는 결과표가 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자료가 아닌 일본의 한 사설단체가 발표한 자료를 근거로 들고 있습니다. 기자이기 이전에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사실 확인을 제대로 할 수 ... ...
“원전 근처 살았던 주민 갑상선암 크기 컸다”…백도명 교수 중간조사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7.01.18
통계적으로 밝힌 것이다. 현재 한수원은 원전이 인근 주민의 건강에 영향을 줄 정도의
방사능
을 배출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백 교수는 심포지움에서 “원전 주변에 갑상선암이 많은 이유는 과잉진료 때문이 아니다”고 밝혔다. - 변지민 기자 제공 백 교수는 또 심포지움에서 “원전 주변에 ... ...
[작심일일 운동기② VR운동] ‘플랭크’ 버티는 시간, VR로 늘릴 수 있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적용했다. 옥수초 VR스포츠실은 운동장에 미세먼지가 가득해도, 눈이 와도, 심지어
방사능
비가 쏟아져도(?) 문제없이 운영된다. VR체육교육은 2018년까지 50개 학교로 확대될 계획이다. 고영규 옥수초 교장은 “내성적인 아이들, 또래보다 체중이 많이 나가는 아이들은 기존 체육 시간에 참여가 ... ...
눈이 셋인 물고기 ‘화제’
팝뉴스
l
2016.12.06
많지 않다면서 놀라움을 표하는 네티즌들이 많다. 일부 네티즌들은 이 물고기를 보니
방사능
오염을 떠올리게 된다고 말한다. 자연적인 돌연변이면 다행이지만 인간 때문에 기형이 된 것이라면 동물에게 인간에게도 해로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원전 사고현장 투입할 ‘무인 로봇’ 나왔다
2016.11.29
이렇게 되면 원전 사고가 났을 때 위험 지역과 안전 지역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
방사능
오염 지도를 재빠르게 완성할 수 있다. 연구진이 개발한 로봇 '램'의 운용 개념도.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원자력연은 원전 로봇 개발에 그치지 않고 언제든지 로봇을 투입 운영할 수 있도록 조종사를 ... ...
한빛 2호기 보호철판에 미세구멍 발견… 안전문제 없을까
2016.10.22
방사능
누출로 이어질 우려는 없다고 평가했다. 원전은 5중 방호막이 모두 뚫려야만
방사능
이 누출되는데 구멍이 발견된 내부철판(4번째 방호막) 이외에는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만균 조선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원자력발전소의 원형 돔은 두께가 1.2m인 콘크리트 아래에 철판을 ... ...
태풍과 인류: 태풍에 대비하는 건강한 마음가짐
2016.10.06
이후 인류가 일으킨 변화가 과거 지질시대의 변화 수준에 맞먹는다는 것입니다.
방사능
낙진, 종의 멸종 속도 증가, 플라스틱과 콘크리트의 증가, 화석연료와 화학비료의 사용 등이 지구 환경에 확연한 변화를 유발했다는 것이 이유입니다. ● 인류세의 시작과 강력해지는 재난 태풍(Typoon)은 ... ...
눈이 넷 ‘귀여운 물고기’ 잡혀
2016.08.24
제기된 상태라고 해외 언론들은 전한다. 반면 전혀 다른 종이라는 반론도 있다. 한편 ‘
방사능
에 오염된 물고기일까’ 호기심을 갖는 네티즌들도 적지 않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돈테크무비 12회] 냉전의 사생아 ‘사드’는 어떻게 탄생했나?
2016.08.01
소련 대사는 핵폭탄이 발사되면 소련이 개발한 둠스데이 머신에 의해 지구 전체가
방사능
오염으로 파괴되는 MAD상황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전문가라고 부른 나치 출신 독일계 과학자 스트레인지러브 박사는 상황에 적절하지 않은 엉뚱한 말들을 늘어놓으면서 관객에게 쓴 웃음을 짓게 ... ...
“목성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2016.07.06
있는지 밝힐 계획이다. 주노가 탐사 임무를 완수할 때 최대 걸림돌은 목성의 강한
방사능
이다. 갈릴레오 탐사선도 목성의 강한 방사선 때문에 2002년 카메라가 고장 나 결국 탐사를 중단한 바 있다. 주노는 인류의 우주 탐사 역사상 태양전지만을 이용해 가장 멀리 날아간 탐사선이다. 이전까지는 20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