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26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적보단 지지를…응원 부족도 스트레스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0
과도한 분비나 만성화된 분비는 질병을 부른다. 혈당과 혈압을 지속적으로 상승시켜
면역
체계가 무너지는 원인이 되며 당뇨, 고혈압, 뇌졸중 등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보다 면밀한 상관성을 살피기 위해 후속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연구에선 다양한 상호작용 특성을 가진 균주가 세포와 어떻게 서로 작요하면서 숙주의
면역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며 "이러한 연구는 인간 건강, 질병과 마이크로바이옴의 인과관계에 대한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바이러스 진단용 항체, 식물 이용해 생산…민감도 100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데 널리 이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바이러스 감염 시
면역
반응으로 만들어진 항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항체진단용 키트는 보통 바이러스 항체 반응을 촉진하는 효소인 과산화효소를 화학적으로 결합한 시약이 쓰이는데 항체와 과산화효소를 따로 ... ...
자가
면역
질환 있으면 갑상선암 발병 위험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보유만으로 향후 갑상선암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원인이 된다”며 “자가
면역
질환이 있는 환자는 갑상선 초음파 등 갑상선암에 대한 정기적인 선별 검사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갑상선’ 2월호에 실렸다 ... ...
다리 6개 달린 쥐 배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9
것이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Tgfbr1과 친척뻘인 단백질들이 DNA 구조 및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계획이다. 또 이번에 발견한 사지가 발달한 메커니즘이 파충류의 신체 구조 발달과도 연관이 있는지 살필 예정이다 ... ...
노화된
면역
체계 젋게 만드는 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9
암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혈액암에 대한 위험성을 상쇄할 수 있다"며 "이러한
면역
회복 전략이 사람에게도 적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선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
내시경 전 '비만치료제' 사용 중단해야…폐렴 위험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1~2주 내 회복된다. 하지만
면역
력이 약한 환자나 만성질환자 등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2018년 1월에서 2020년 12월까지 상부 또는 하부 내시경 시술을 받은 약 100만명의 비식별화된 미국 환자의 데이터를 ... ...
나노입자로 인플루엔자 억제…흡입형 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나노입자는 흡입을 통해 직접 폐 조직에 도달하며 감염 초기에 신속한 바이러스 사멸 및
면역
반응 강화를 유도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연구팀은 동물모델 실험을 통해 나노입자 치료제가 비강 흡입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고 급성 폐렴을 ... ...
애벌레도 60초면 출혈 멈춰…"지혈 약물 개발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역할을 하는 '혈림프'는 적혈구, 혈소판 등이 거의 없고 백혈구 대신 혈구세포가 있어
면역
반응을 수행하는 등 구성 성분이 매우 다르다. 혈림프도 사람의 혈액처럼 몸 밖으로 나오면 빠르게 굳지만 그 과정에 대해서 정확히 연구된 적은 없었다. 연구팀은 먼저 담배뿔벌레라는 나방 애벌레의 혈액이 ... ...
봄철 심해지는 '알레르기성 천식'…폐 염증 막을 단백질 찾았다
2024.03.27
폐에 있는 ILC2는 알레르기 유발 항원이 있을 때 활성화되며 염증 반응을 유발, 다른
면역
세포가 폐로 모이게 만든다. 이를 방치하면 염증이 과도하게 발생하고 기도가 좁아져 천식 환자가 제대로 호흡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연구진은 알레르기 유발 항원이 ILC2를 활성화하면 이 활동을 제한할 수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