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내부"(으)로 총 5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립중앙과학관, 상설전시관 신규전시코너, 희귀라디오전시, 자기부상열차 체험 등 국립중앙과학관, 상설전시관 신규전시코너 공개기사 l20160229
- 대한민국의 과학기술력을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냉장고, TV, 자동차 등 과학기술제품을 실제 절단하여 전시함으로써 관람객들은 내부를 직접 살펴볼 수 있으며, 영상과 체험을 통해 작동원리와 그 속에 담긴 과학원리를 쉽게 배울 수 있어 아이들의 과학역사교육을 만나볼 수 있는 장으로 구성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이번에는 전기․전자, 운송기계 기 ...
- 말벌집을 채집하다 Vespae Nidus: 자연의 페니실린기사 l20160216
- 벽돌이 어지럽게 떨어진 것으로 봐서는 누군가 채취할 작정이었나 봅니다. 그래도 원형이 파손되지 않을만큼 탄력적입니다.이렇게 내부에는 죽은 말벌과 애벌레들이 널부러져 있었어요.이 녀석은 꽤 온전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었어요. 표본용으로 사용할 생각입니다.얼마나 정밀하게 만들어졌는지 실제로 가까이서 보니 그저 감탄스러웠습니다.여름에 다시 돌아올 생각 ...
- 먹을 수 있는 물병, '오호' '오호'와 과학기사 l20160124
- 껍질에서 영감을 받아 먹을 수 있는 물방울 형태의 물병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오호는 구체화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물주머니로내부는 얇은 이중의 젤라틴막으로 되어있고 외부는 갈색 조류와 염화칼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구체화 과정은 요리에 이용되는 기술로 1946년에 개발되었습니다.얼음을 만들 때 사용하는 원통형 같은 곳에 물을 넣고 여기에 알 ...
- 코셈을 다녀오다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들여다보는 본 나노의 창: 작지만 큰 세상기사 l20151209
- 작동원리와 발전가능성 등 많은 알토란 같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어요. 전자현미경을 책으로만 봐왔던 기자로서는 그 내부를 자세히 들여다 볼 기회가 생겨서 너무 신났어요. 현재 개발중인 모델을 직접 보면서 제작자들의 설명을 들으니 SEM의 원리가 제대로 이해되었어요. 아직은 초기단계라서 실제로 시료를 관찰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목표하는 배율 ...
- [문화재]청소년문화재 지킴이기자단으로 1년동안 열심히 탐방에 참여했습니다. 고종황제가 아포스팅 l20151206
- 배우고,느끼는 기자단활동이었습니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았던 백제문화역사 익산,부여탐방이 넘 좋았습니다. 복원중인 미륵사석탑 내부도 들어가서 사리장엄이 나온 중앙의 사각형돌도 특이했지만 한쪽옆에 다져놓은 다양한 판축기법들이 굉장히 신기했습니다. 옛날 백제사람들이 만든 판축기법들을 현재 우리가 따라갈수 없다고합니다. 복원이라는건 정말 어려운 작업 ...
- 제가 가 본 맛있는 음식점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연세대 동문회관과 이대후문 근처에 위치포스팅 l20151016
- 소개해 보겠습니다. 연세대 동문회관과 이대후문 근처에 위치한 "화가와 요리사" 라는 음식점입니다. 화가이자 요리사인 주인의 음식점이라 내부에 직접 그리신 유화 그림들이 가득한 곳입니다. 저는 그림에 관심이 많아서 요리를 주문하고 그림을 구경했습니다.^^ 제가 주문한 요리는 김치찌개에 돈까스가 들어간 "청년찌개"라는 메뉴인데 맛이 예술입니다. 김 ...
- 좌묘우사의 종묘를 다녀와서 마인드맵으로 정리해봤습니다 5칸으로 시작된 정전은 19칸으로 증포스팅 l20151005
- 좌묘우사의 종묘를 다녀와서 마인드맵으로 정리해봤습니다 5칸으로 시작된 정전은 19칸으로 증축되었고, 정전에 모시지 못한분들은 영녕전에 모셔져 있다고합니다. 아쉽게 내부를 들여다보지 못했지만 내년 종묘제례에 꼭 참석해보고 싶습니다 ...
- 선풍기에 날개가 없다고? 더운 여름에 쓰는 선풍기, 날개가 없는데 어떻게 바람이 나올까?기사 l20150803
- 원리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 걸까요? 선풍기의 아래 쪽 스탠드는 팬과 전기모터가 들어 있으며 여기서 공기를 빨아들인 뒤 고리 내부로 내보냅니다.고리는 비행기 날개의 단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고리의 바깥 면은 곡면이고, 안쪽 면은 평평합니다. 이 때문에 빈 고리 안쪽의 공기 흐름이 바깥쪽보다 빨라지면서 고리 주변의 공기까지 고리 안으로 빨려들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7월호] 로봇 구조대원이 원전폭발 막는다기사 l20150706
- 모두 갖췄다. 2004년 개발한 구형 휴보는 사람처럼 다섯 손가락이 움직이지만 손가락이 굵고 물건을 잡는 기능은 크게 떨어졌다. 내부에 고무로 만든 체인식 벨트가 들어 있어 강한 힘을 내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2009년 ‘휴보2’를 개발하면서 손가락에 와이어를 넣어 사람처럼 가느다란 다섯 손가락으로 물건을 강하게 감싸 쥘 수 있게 만들었다. ...
- 저의꿈은 로봇공학자입니다. 6살때부터 로봇에 관심을 가지고 휴보아빠이신 오준호 박사님을 존포스팅 l20150629
- 그토록 뵙고싶던 오준호 교수님을 드디어 만난다는 생각에 심장이 터질것같고..한마디로 '미칠것'같은 기분이 들었습니다. ㅎㅎ 센터 내부로 들어가자 3~4개정도 되는 방이 보였습니다. 여기저기 둘러보던 저는 로봇 한대를 발견하고 깜짝놀랐죠. 바로 이번 다르파로보틱스 챌린지 우승의 주인공 DRC휴보2 (플러스)! 그 순간몸에흐른 전율은 아직도 잊을수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