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d라이브러리
"
팀
"(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약자 피해 우려에 지구공학 실험 멈췄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시도된 것이 스코펙스가 처음은 아니다. 2010년 영국 브리스톨대를 비롯한 네 개 대학 연구
팀
은 성층권에 물방울 입자를 흩뿌려 햇빛을 반사하는 스파이스(SPICE)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과학자들은 스파이스 프로젝트를 두고 스코펙스와 마찬가지로 ‘예측하지 못한 부작용은 없는가’ ‘인간의 ... ...
[한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행성 탄생 과정에서 정해진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 5월 10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61-021-00733-0연구
팀
은 초기 행성의 발달 과정을 살펴 보기 위해 고압 환경을 연구했다. 핵의 구성성분인 금속과 규산염 등을 질소와 함께 대기압의 3만 배에 가까운 압력과 높은 온도에 노출했다. 그 결과 행성으로 진화하기 전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2025년 태양전지 세대 교체 일어날 겁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반복해야 한다. 가령 UNIST에서 첨가제 후보 물질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면, 김 센터장
팀
은 그 첨가제를 각각 다른 양으로, 그리고 다른 조건에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과 결합시킨다. 그렇게 만들어진 태양전지 샘플을 일일이 테스트해보고 눈에 띄는 효율이 나타나는 것을 추려내야 한다. 김 센터장은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속도가 너무 빨라 강력의 특성을 파악할 시간조차 제대로 주어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
팀
은 양성자와 양성자의 충돌에서 생성된 입자 간의 운동량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해 기묘 쿼크(strange quark)를 포함하는 입자와 핵자(양성자와 중성자) 사이의 강력 상관관계를 밝힐 수 있는 펨토스코피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900만 년 전 개미의 식사 시간! 미국 뉴저지공과대학교의 진화생물학자 필립 바딘 교수
팀
은 태국 미얀마에서 9900만 년 전 살던 지옥개미가 바퀴벌레를 문 순간이 저장된 호박을 발견했어요. 지옥개미가 커다란 낫과 같은 턱으로 바퀴벌레를 무는 순간, 소나무에서 나온 끈적끈적한 송진에 갇혀 ... ...
[에디터노트] 눈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번에 표지와 특집 본문에 사진을 제공한 복원 아티스트 ‘케니스&케니스’
팀
의 작품도 그렇습니다.하지만 400만 년 전 인류가 유일한 최초의 인류 후보는 아닙니다. 더 이른 시기에 산 후보도 있습니다. 우리의 직계 조상인 호모 속 최초의 인류 역시 아직 정체가 모호합니다. 아시아에서 거푸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국립보건연구원과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현 테라젠바이오) 등 공동연구
팀
은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13~16세 국내 비만 청소년 67명과 BMI가 25 미만인 비만이 아닌 청소년 67명의 장내 미생물을 비교했습니다. 대변 시료에서 미생물의 유전체만 쉽게 동정할 수 있는 16S rRNA 염기서열 분석법과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지역에 분포했을 것이라는 증거다. 2019년 머레이 콕스 뉴질랜드 매시대 기초과학부 교수
팀
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과 파푸아뉴기니에 사는 현생인류 유전체에서 데니소바인과 여러 차례 DNA를 교류한 흔적을 발견했다. 심지어 데니소바인이 단일 그룹이 아닌 여러 혈통으로 구성돼 있었고, ... ...
[기획] 순간 포착! 물질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00펨토초 만에 탄생! 마이크로 로봇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과 최홍수 교수
팀
이 액체 괴물처럼 끈적한 점성을 갖는 폴리머 액체에 100fs(펨토초. 1000조분의 1초) 정도의 짧은 순간 레이저를 쏘아 마이크로 로봇을 만들었어요. 100fs 동안 레이저와 접촉한 폴리머 액체는 열에 의해 단단해져요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편집자 주 : 박물관과 미술관에 박제된 문화재와 미술품에 오늘날의 생기를 불어넣은 두 장인을 만나 시대를 초월한 예술과 이를 가능케 한 기술의 관계를 ... 지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번 기증을 통해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문화재 사진작가
팀
’이 생기길 꿈꿔 본다”고 말했다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