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어"(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RCS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국정원이 일반 국민을 사찰하려고 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RCS는 원격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me)의 약자다. 이름 그대로 프로그램이 설치된 데스크톱PC나 스마트폰의 원격 조종을 가능케 한다. PC나 스마트폰이 고장 났을 때 전문가가 원격으로 고치거나, 스마트폰을 분실했을 때 ...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엉뚱한 위치 값을 입력하면 로봇이 다칠 수 있다. 이럴 땐 소프트웨어가 감지하고 모터 제어기를 자동으로 멈추게 한다. 관절별로 움직일 수 있는 최대 속도와 가속도를 넘는 값을 입력해도 소프트웨어가 개입해 로봇 파손을 막는다. 이런 기능들이 합쳐져 휴보의 세계대회 우승을 이끌었다. 휴보의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가령 CEBPA라는 유전자에서 전사되는 lncRNA는 DNA를 메틸화시키는 DNA 메틸전달효소를 제어한다. 뿐만 아니라 RNA를 조절하는 것은 개인별 맞춤 치료에도 응용할 수 있다. 이런 비암호화 RNA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면 메틸화나 히스톤 변형 등을 직접적으로 조절하지 않고도 암을 정복할 수 있을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뇌 연구도 활발해졌어요. 뇌에 있는 혈관만 찍은 영상과, 각 손가락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뇌의 영역만을 찍은 영상도 만들 수 있게 됐지요.단점도 있어요. 지금까지 개발된 MRI 해상도는 최대 1~3mm예요. 하지만 신경세포를 관찰하려면 해상도가 수nm(나노미터, 10-9m)까지 좋아야 하지요. 그래서 많은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개발하는 것 만큼이나 로봇의 안정성을 끌어올리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며 “로봇 제어에 필요한 별도의 운영환경까지 자체 개발했기 때문에 안정성 면에선 최고 수준”이라고 자랑했다.다른 팀에선 로봇 오작동으로 패널티를 감수하고 시합장 안으로 사람이 투입되는 일이 속출했다.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다시 스캐닝이 반복됐다. 팽팽한 긴장감이 감도는, 출렁이는 바지선 위 좁고 어두운 원격제어실이 답답했다. 기다림이 길어지고 있었다. 그때였다. "앗, 저거 뭐죠?" 2시 6분, 드디어 초음파 카메라에 동그란 물체가 나타났다. 의자에 기대어 있던 박진영 연구원이 순간 등을 곧게 세웠다. 화면을 ... ...
- [Knowledge] 펨토초 엑스선으로 본 세상, 분자가 결합하는 찰나를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단백질의 화학 반응을 정확히 이해하면 반응을 자유자재로 제어해 질병 치료나 신약 개발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험을 위해 연구팀은 이미 단백질 실험을 위한 시료 주입 장치를 고안했다. “이번 연구 과정에서 기술, 분석적 노하우를 이미 축적한 ... ...
- [과학뉴스] 현대차, 2020년 자율주행 로드맵 발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국내 완성차업체들이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는 건 아닐까. 정혁진 현대자동차 ADAS제어개발팀 파트장은 “구글의 기술은 실제 차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며 “기능 구현에만 초점을 두다 보니 양산이 어려운 센서를 이용하고, 제한된 환경에서만 작동하는 시스템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3D 새는 극한 상황에서도 결코 추락하는 법이 없다”며 “실제 새의 정교한 날개 제어기술을 그대로 재현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3D 프린터를 이용해 날갯짓을 하는 새를 직접 만들 계획이다.절벽제비 비행 ▶ 드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워싱턴대 연구팀은 새의 비행 전략을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표면장력 때문에 오일에 둘러싸인 작은 물방울을 계속 만들 수 있다. ‘미세 물방울 제어’라고 불리는 이 기술은 검출 민감도를 올리는 데 활용된다. 1mL 용액에 단 하나의 바이러스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바이러스를 검출하기란 ‘서울에서 김 서방 찾기’ 보다, 더 어려울 것이다. 만약 1mL를 10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