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세대 해양탐구 프로젝트 I 부산, 청년과 바다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인공위성은 카메라 모듈이 부착된 합판 조립으로 완성됐죠. 위성이 실시간으로 해양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서였습니다.카메라를 노트북에 연결해 수온지도를 촬영해봤습니다.노트북에 설치돼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역별 수온을 확인할 수 있었지요. 보라색은 9℃, 파란색은 11℃, ... ...
- [과학뉴스] 달에서 식물을 기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받아 잎이 작고, 붉은 반점이 나타나는 것도 발견했지요.펄 교수는 “식물의 유전 정보와 달 토양에 대한 반응을 분석해서 달 토양에서 식물이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잘 자라는 방법을 찾고 싶다”고 말했어요.●유전 : 부모가 가진 신체의 특성이 자식에게 전해지는 현상 ... ...
- [현장취재] 캐릭터에 움직임을 불어넣다! 모션 캡처 스튜디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배우의 몸에 부착된 마커의 움직임을 추적해 3차원 좌표 데이터로 만들면, 마커의 위치 정보를 이어 붙여서 ‘본’이라고 하는 뼈대를 만듭니다. 오현석 엔지니어는 “도구나 구조물 등을 활용해 표현하려는 장면과 최대한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 초기 데이터가 잘 생성될 수 있게 한다”고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우리도 빅데이터 생산자! 내 권리는 내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앱의 설정에 들어가 개인정보 제공 항목을 찾아보세요. 개인정보 수집, 카메라 허용, 위치정보 허용 등에 관한 항목들을 살펴보고 이것이 꼭 필요한 것일까 생각해 본 뒤 의견을 올려 주세요!참여 방법어과수 홈페이지-포스팅에 [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달아 올리기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어디서나 함께 음악을~♪ 블루투스 스피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전달할 수 있지만 전달 거리가 짧아 기지국이 많이 필요하고, 주파수가 낮으면 적은 정보를 상대적으로 멀리 전달할 수 있어요. 아직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5G 통신 주파수는 약 3.5GHz(기가헤르츠)지만, 전국 어디서나 쉽게 수신할 수 있는 FM 라디오 전파는 100MHz(메가헤르츠) 근처의 낮은 ... ...
- [가상 인터뷰] 금붕어도 사람처럼 거리 계산한다고?수학동아 l2022년 12호
- Q. 우와 놀랍네요. 앞으로 이 결과는 어떤 연구에 도움이 될까요? 이렇게 기하학적인 정보를 활용해 거리를 계산하고 위치를 파악하는 능력은 주로 포유류에서 발견되거든요. 그래서 진화론적으로 포유류가 어류에서 분리되기 전부터 이 능력을 갖고 있었는지 분석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어요. ...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외부와 고립된 상태가 되기 시작했다. 국가가 검열하는 네트워크 안에서 시민들은 정보에서 더 소외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세계에서 떨어져 고립된 러시아의 인터넷이 이미 확고한 검열망이 작동하는 중국의 인터넷 네트워크를 따라가고 있다고 본다. 중국은 ‘만리방화벽’으로 불리는 ...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찾고, 생물을 탐사한 기록을 올린다. 그러면 연구자는 탐사대원이 남겨준 생물 기록 정보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과학 연구의 선순환이 일어나는 셈이다. 실제로 시민 탐사대원이 만든 수원청개구리 탐사 기록을 활용해 분포 및 서식지 특성을 파악하는 등, 지난 10년 동안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 ...
- [논문탐독] 화석이 보여주는 탄생의 자세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배아 화석을 다룹니다. 배아 화석도 발생 초기 단계면 약간의 뼈만 남아 있을 뿐 정보량이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보고된 화석은 배아 발생의 후기 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에 뼈들이 모두 존재하며 이것들이 살아 있을 때 모양 그대로 흩어지지 않고 붙어 있습니다. 베테랑 고생물학자들도 ... ...
-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과학잡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취재하기, 무료 이미지 찾아서 사용하기, 독자 반응 확인하기 등 외부에서 알기 어려운 정보들이 담겼다. 특히 과학동아의 실제 기획회의와 ‘전지적 독자위원회’ 투표 등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 대해서도 상세히 소개됐다. 학생들은 다양한 질문을 쏟아냈다. 정규 수업이 끝나고 시작된 강의는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