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굽고 튀기면 맛있다고? 요리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뭔가요? 노릇노릇 구운 스테이크부터, 겉바속촉 튀김까지. 인류는 지구상에 등장한 이후, 더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습니다. 새로운 맛과 향, 더욱 입맛을 자극하는 식감을 찾기 위한 인류의 도전은 과학적으로 진행돼 왔지요. 군침 흘리게 않게 조심하세요. 맛있는 요리의 과학 ...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노력할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스콧 셰퍼드 박사는 “이번에 발견된 2022 AP7이 2014년 이후 발견된 가장 큰 잠재적위험소행성이며, 상위 5% 안에 드는 큰 크기”라고 설명했어요. 이어 “지구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무시할 정도는 아니지만 현재로서는 상당히 낮다”며, “태양계에 어떤 소행성이 ... ...
- [특집] 순간이동이 당연해진 세상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순간이동을 할 때마다 새로운 사람이 태어나고 사라지는 셈이니까요. 순간이동 이전과 이후의 내가 같은 사람인지 확인하는 검사를 정기적으로 할 것 같습니다. 몸이 없는 남자➡ 에드워드 페이지 미첼 SF 작가순간이동이 창작물에 처음 등장한 건 미국의 SF 작가 에드워드 페이지 미첼이 1877년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존 클라우저 미국 존클라우저협회 창립자 모두 양자정보 시대를 여는 데 공헌했다. 이후 양자전송은 빠르게 발전했다. 2017년에는 차일링거 교수의 제자인 중국과기대 판 지안웨이 중국과기대 교수팀이 인공위성을 이용해 송신자와 수신자가 1400km 떨어진 조건에서 광자의 양자전송 실험에 성공했다 ...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한국에 와서는 한국인에게 중요한 김치의 재료인 배추와 무의 종자 개량에 주력해, 광복 이후 공급이 어려웠던 우량종자를 국내에서 생산하며 ‘김치의 은인’이란 별명을 얻었다. 감귤을 제주도의 특산 작물로 추천해 제주도 경제에 큰 도움을 주기도 했다. 하지만 우장춘의 업적은 이런 실용적 ... ...
- [헷갈린 과학] 두 눈이 오른쪽? 왼쪽? 가자미VS넙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때는 눈이 몸 양쪽에 하나씩 대칭적으로 달려 있습니다. 치어는 수면 근처에서 생활하죠. 이후 성장하면서 넙치는 왼쪽, 가자미는 오른쪽으로 점점 눈이 이동하며 바닥 생활을 시작합니다. 이때 유안부와 무안부의 색도 달라져요.넙치와 가자미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친숙한 ... ...
- [특집] 편견을 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어려운 도구를 이용해 훌륭한 논문을 냈다는 점에 크게 놀랐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이후 장 교수는 내로라하는 각종 수학 상을 휩쓸었다. 뉴햄프셔대에서 정교수로 바로 승진했고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초청 강연했다. 수많은 학교에서 ‘우리 학교로 와달라’라는 요청을 받아 2015년 미국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측면에 대한 국제 워크숍을 준비하며 ‘분자 물리 요리학’이라는 명칭을 만듭니다. 이후 좀 더 쉽게 ‘분자 요리’라 불리게 되었죠. 분자는 물질이 화학적 형태와 성질을 잃지 않고 분리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알갱이를 뜻합니다. 음식을 이런 분자 단위까지 철저하게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해, ...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연구를 하다가 2013년에 르드라삐에가 아예 서울에 와서 함께 한 달 동안 연구했어요. 이후 2014년 가을부터 2015년 여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에서 방문 교수로 지냈는데 마침 그 해 봄 버클리에 있는 MSRI(수리과학연구소)에서 동역학 관련 학회 프로그램이 한 학기 동안 열렸어요. 이때 ... ...
- [뉴스&인터뷰]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아니라,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도 성공했다. 2022년 12월 17일 달 궤도에 도착하는 다누리는 이후 감속을 통해 2022년 12월 말 임무 궤도에 진입할 계획이다(기사는 12월 13일 작성). 그리고 2023년 1월부터 1년 동안 상공 100km의 궤도에서 하루 12회씩 달을 공전하며 과학기술 임무를 수행한다. 항우연을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