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설"(으)로 총 2,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비밀 조직의 존재를 눈치채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올해도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는 전 세계로 선물을 배달하는 산타의 위치를 추적합니다. 북극에서 세계 곳곳으로 선물을 실어 나른다고 알려진 산타도 북극의 하늘을 항상 살피고 있는 이 방위 조직의 감시망을 피해갈 수 없다는 거지요. 산타가 어디에 있는지는 12월 1일부터 산타 위치 추적 홈 ... ...
- Part 6. 선물 나르는 보이지 않는 손수학동아 l2016년 12호
- 2차 보안 검색, 늦어진 이륙으로 당초 예상보다 늦게 인천 국제공항에 도착한 요원들! 짐을 찾으려는 사람들로 북적이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자신의 가방을 재빨리 찾아냈습니다. 이제 저들이 누구에게, 어떻게 선물을 전하는지 확인할 차례지요.그런데 이게 웬걸, 눈 깜짝할 사이에 빨간 양복을 입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엔지니어와 기술자다. 그래서 우리는 물리학자보다는 엔지니어를 더 많이 고용한다. 시설을 만들고, 운영하며, 사용하는 사람들이 원활하게 소통하게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현재 소통을 전담하는 물리학자를 뽑아서 그 역할을 맡기고 있다.➔ 그는 CERN에 대한 자부심이 컸다. 특히 CERN의 성공 ...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있다는 점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 10월 11일 “민관 협력을 통해 우주 주거 시설을 개발하고 2030년대까지 화성에 지구인을 보내겠다”며 NASA와 스페이스X와의 협력관계를 강조했다. 이들의 협력이 가져올 미래의 모습은 어떨까. 2파트에서 확인해 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가 대표적인 사례다. 서브트로폴리스는 문을 닫은 석회석 광산을 개조해 창고와 제조시설, 사무실 등으로 사용 중인 지하공간이다. 폐 광산을 개조하면서 일부 암반들을 굴착하지 않고 기둥 모양으로 깎아서 지하공간을 지탱하는 구조물로 활용했다.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소는 지난 수 년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형태의 집이었다. 화성의 토양을 이용해 차폐막을 만들 예정이며, 세 개로 나눠진 거주시설은 각각 다른 기능을 하게끔 설계됐다. INTRO. MARS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연구를 계획 중이다.이번에 지은 4세대 가속기는 길이가 1.1km, 높이가 3m 정도인 가속기 시설을 두께가 2m인 콘크리트 터널이 둘러싸고 있다. 단층 건물로는 우리나라에서 길이가 가장 길며, 부피도 1만5000m3에 이른다. 가속기 건물의 바닥 높이 오차는 ± 5mm밖에 되지 않을 만큼 정교하다.가속기가 있는 ...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고색창연한데요. 1900년대 초에 지어진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신식 연구시설들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다른 건물들에 둘러싸여 있습니다.연구원들은 대부분 지하철을 이용해 출퇴근합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교수들도 통근버스를 타고 다닌다고 해요. 사회주의 국가에선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로부터 1km 남짓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다. 인근의 문화재나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 시설들의 위험성이 새삼 부각됐다. 그러나 사실 경주는 ‘조선왕조실록’에도 여러 번 지진으로 언급될 정도로 역사적으로 지진이 빈발했던 지역이다. 삼국시대 이후부터 1904년까지 역사에 기록되거나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활발하게 협업하는지를 보여주는 그림이었다. 그는 “티타임을 포함해 LMB의 모든 문화와 시설, 조직은 연구자 사이의 네트워크를 견고하게 다지기 위해 존재한다”고 말했다. 협업의 결과가 여러 차례 노벨상 업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직접 경험했기 때문에, 연구소의 모든 조직과 구조는 협업을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