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동체
트렁크
구간
신체
체격
전신
d라이브러리
"
몸통
"(으)로 총 627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물리학과 황보창권 교수의 설명이다.실제 나비의 색은 독특한 표면구조가 붙어있지 않은
몸통
이나 날개 가장자리에서 보듯이 거무튀튀하다. 이처럼 색소가 없이 색깔이 발생하는 경우를 ‘구조색’(structual color)이라고 부른다.그렇다면 이 표면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 날개표면의 단면을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유사한 사례를 한지희의 일러스트레이션에서도 찾을 수 있다. 엷은 분홍색 돼지의
몸통
에는 엷은 하늘색이 부분적으로 칠해져 있다. 바닥에 있는 개울물의 반사를 표현한 것이다. 개울물의 반사를 표현하기 위한 경우가 아니라면 핑크색과 하늘색은 같이 쓰이지 않았을 것이다.이 일러스트레이션의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한 움큼의 털에 불과한 인간만 보고, 복잡성 증가를 진화의 추세로 삼는 것은 꼬리로
몸통
을 흔들려는 잘못된 시도입니다. 복잡성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화가 진행됐다는 믿음은 통계적인 환상일 뿐입니다.사회자: 마치 박테리아 찬가를 부르시는 것 같군요. 굴드 교수님은 박테리아의 대변인 ... ...
4백30년전 애달픈 사연 담은 파평윤씨 母子 미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편지의 내용을 토대로 미라의 사망연대를 1566년(명종21년)으로 추정하게 됐다.미라는
몸통
이 비대한 반면 양쪽 팔은 비교적 가느다란 여성으로서 일을 하지 않았던 사람으로 추정된다. 한편 오른쪽 옆구리에 커다란 덩어리가 있어서 처음에는 암이 증식한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방사선 촬영과 CT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지구상에는 8천5백여종의 새가 있다. 조류형태학자들은 전통적으로 깃털의 색깔이나
몸통
, 날개, 부리, 다리의 길이와 같은 특성을 토대로 조류를 분류해왔다. 한편 동물행동학자들은 지난 20여년 동안 새들이 내는 소리를 음성학적으로 분석해 조류의 분류를 시도해왔다. 그러나 동물행동학자들은 ... ...
트로이의 목마, 몸 속을 휘젓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하는 호들갑스러운 비명이 들려오기도 했다. 이로 밤을 깨물어 쪼개보니 밤벌레가
몸통
이 잘린채 죽어있는게 아닌가.밤톨 속에서 느긋하게 지내다 영문도 모른 채 쪄 죽은 벌레가 더 억울하겠지만 껍데기는 멀쩡한데 뜻밖에 벌레를 씹게 된 기분도 과히 유쾌하지는 않다. 밤껍질을 얼핏 봐서는 ...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기반한 세부 모델을 유전자형으로 인코딩했다. 일반적인 여성복의 세부 요소를 목과
몸통
, 팔과 소매, 스커트와 허리선의 3부분으로 재분류하고 각 부분별로 취할 수 있는 8가지 색상을 포함시켜 염색체를 구성한다. 결국 하나의 디자인 개체는 3개의 디자인 부분과 각 색상들의 조합으로 이뤄진다. ... ...
동물실험으로 독살 판정한 선조들의 지혜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머리와 팔다리는 부피에 비하여 뼈가 차지하는 부분이 크므로 비중이 높고, 상대적으로
몸통
은 비중이 낮다. 따라서 주검이 물 속에서 자유롭게 있었다면, 남녀에 상관없이 머리와 팔다리가 아래로 늘어지는 엎드린 형태로 발견된다.5.불에 타 죽은 경우신 본 시체는 피부가 모두 타고 살이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가운데 다리는 노처럼 구동되도록 했다. 가운데 다리를 작동시키기 위해
몸통
에 구동장치를 설치했다. 구동장치는 잘 늘어나는 끈과 이를 감아놓는 바퀴로 만들어졌다.로보스트라이더는 실제 소금쟁이만큼 우수한 능력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가운데 다리로 한번 노를 저으면 몸길이의 절반 정도만 ... ...
형제자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물어뜯어 죽인다. 일본왕개미의 전쟁터에는 팔다리가 떨어져나가는 부상을 입은 개미와
몸통
이 잘려나가 처참하게 죽은 개미의 시체가 즐비하다. 개미들이 왜 집단 간에 싸움을 벌이는지에 대해 아직 다 설명할 수는 없다. 먹이와 같이 한정된 자원을 놓고 벌이는 과도한 경쟁도 한가지 이유일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