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d라이브러리
"
모든
"(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별 원주율 기네스 세계 기록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원주율을 가장 길게 표현한 세계 기록을 가지고 있어요. 2018년 π-데이를 기념하기 위해
모든
학생과 전직원, 그리고 학부모까지 손에 원주율 자릿수가 하나씩 적힌 종이를 들고 순서대로 쭉 서 있었지요. 가장 큰 인간 π : 영국 리즈모어중등학교2019년 영국 리즈모어중등학교의 수학부에서 π-데이에 ... ...
[킹앤유&UNIST] 숨은 규칙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하는 것 중 하나일 거예요. 오늘 소개할 문제는 어떠한 배경지식도 필요하지 않아요.
모든
상상력을 동원해 숨은 규칙을 관찰하고 추론하며 결론에 도달해보세요 ... ...
첫 번째 질문 l 허수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가?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모든
실수를, y축에는 이 실수에 i를 곱한 허수를 대응시켜요. 그러면 평면의 점과
모든
복소수를 일대일 대응시킬 수 있지요. 참고로 이보다 앞서 프랑스 수학자 르네 데카르트(1596~1650)가 기하학에서 좌표평면을 도입했는데요. 그런 면에서 데카르트가 복소수가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도 ... ...
[러셀 탐구생활] 달콤한 첫사랑, 수학의 배신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발단은 ‘평행선 공준’이었습니다. 이 공준은 ‘닮은 두 삼각형이 존재한다’, ‘
모든
삼각형은 외접원을 가진다’ 등의 매우 중요한 정리를 증명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에, 당연히 러셀은 형에게 평행선 공준을 어떻게 증명하는지 물어봤습니다. 그러나 형의 대답은 뜻밖이었습니다. “평행선 ... ...
[수학체험 유랑단] 영암의 테셀레이션 의상실을 찾다!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 (n-2)/n 로 구할 수 있어요. 김선옥 선생님은 “실제 작품을 만들면서 한 내각의 크기,
모든
내각의 합 등 정다각형의 특징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번 수업을 준비했다”고 설명했어요. 특히 티셔츠로 만들면 입을 때마다 언제든지 티셔츠에 새겨진 테셀레이션 무늬를 보며 ... ...
[이달의 책] 재료가 바꾼 인간의 감정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모두 좌반구에 연결돼 있었다. 생후배선이라는 놀라운 능력 덕분에 절반의 뇌로도
모든
기능을 처리한 것이다. 스마트폰에서 전자장치의 반을 자르면 작동하지 않겠지만, 인간의 뇌는 절반의 뇌가 회로를 재편해서 부족한 기능을 스스로 보충할 수 있다. 이처럼 이 책은 ‘발전하고 변화하는 뇌’의 ... ...
[지구사랑 탐사대] 대한민국 대표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 2023년 11기 모집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설치하기지구사랑탐사대로 선발되면 스마트폰에 팝콘플래닛 앱을 설치해 주세요.
모든
탐사기록은 앱에서 기록해요.2탐사 방법 배우기팝콘플래닛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교육 일정 공지를 확인하세요. 온라인 강연 및 오프라인 현장교육을 통해 생태 전문가가 탐사 방법을 알려드려요. 영상과 ... ...
시민과학콘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한글 동물 그리기 대회에 멋진 작품들을 뽐내주었어요.대회의 규칙은 단 하나! 동물의
모든
기관을 그 동물의 이름으로 표현하는 것이랍니다.한글자 한글자 정성스럽게 그려낸 친구들의 한글 동물 그림 작품! 지금 확인해 보아요~! 곽소영 대원 구구구네 팀 하정주매니저오색딱따구리의 깃털 ... ...
[Space Math] 세밀한 제어 기술로 승부한다! 우주발사체 기업들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차 발사 때는 마지막 단계에서 아쉽게 실패했지만 두 번째 도전에서 해냈다. 스페이스X도
모든
도전을 한 번에 다 성공시키지 못했다. 다양한 실패를 여러 번 경험했다. 그때마다 비난과 질책이 아니라 그저 조용히 지켜보며 응원해주는 것이 개척자들에게 큰 힘이 된다 ... ...
[에디터 노트 ]‘실친’을 만들 수 있는 곳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낸 아이디어가 많이 들어가 내심 뿌듯해 하면서 봤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모든
분이 만족하신 건 아닌 듯합니다. 안건우 독자위원은 “특색이 없고 전형적인 느낌”, 박지빈 독자위원은 “약간 지루한 느낌”이라고 혹평을 하기도 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보셨나요. 한 번에 나아질 거라고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