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꺽! 수학 한 입] 직사각형 경기장이 품은 도형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있어요. 배구 경기장은 커다란 직사각형 경기장을 똑같은 크기의 직사각형 3개로 나눈 뒤, 가운데 직사각형을 네트★를 기준으로 다시 똑같은 크기의 직사각형 2개로 나눈 모양이에요. 테니스 경기장은 네트를 사이에 두고 한쪽에 직사각형 5개씩, 총 10개의 직사각형으로 이뤄져 있지요. 농구 ... ...
- [특집] 튀르키예의 건물, 지진으로 주저앉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강 교수는 튀르키예의 한 건물 전체가 뒤로 넘어진 사진을 보며 “1층의 기둥이 부실했던 것 같다”고 추측했어요. 1층에 로비나 주차장 등을 설치하기 위해 기둥을 적게 설치하면, 지진 발생시 1층이 쉽게 무너지고, 2층부터 그 윗부분까지 건물 전체가 ... ...
- [오늘부터 우리는! 행복한 동물원] 동물을 보러 동물원 가도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팔다리를 뻗고 몸을 그루밍●할 수 있는 자유 공간이 필요하다는 내용이지요. 이는 14년 뒤인 1979년, 더 넓은 의미의 ‘다섯 가지 자유’로 발전합니다. 불편함으로부터의 자유, 두려움과 괴로움으로부터의 자유 등 동물의 신체와 정신의 건강을 모두 생각했고, 자연에서 보이는 정상 행동을 할 수 ... ...
- 영재학교 학생이 말하는 챗GPT 주의사항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하더라고요. 답변 검증은 필수, 지식이 많을수록 유리 임예온 챗GPT한테 질문을 한 뒤에 A라는 답변을 듣고, 그다음 ‘A는 틀렸어. B가 맞지 않아?’라고 동의를 구하듯이 물으면 ‘잘못된 답변을 해서 미안하다. B가 맞다’는 답변을 하기도 해요(웃음). 앙현영 지난주에 다녀온 ‘챗GPT 포럼’에서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저는 챗GPT의 이러한 기능을 시험해봤어요. 아직 많이 부정확하지만, 때로는 챗GPT의 짐작 뒤에 우리가 발견하지 못했던 ‘직관’이 숨어 있어요. 수학자와 함께 챗GPT로 수학 문제 풀어봤다! 김재훈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와 함께 챗GPT 플러스의 GPT-4를 이용해 고등학생도 풀 수 있을 만한 ... ...
- [킹앤유] 대칭 다항식을 조립하자! 영 타블로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지루했어요. 그래서 그 공식이 어떻게 나왔는지 근본적인 원리를 찾기 시작했고, 공식 뒤에 숨겨진 수학적 구조에 대해 생각하다 수학을 좋아하게 됐어요. 오늘의 문제는 브릭 블록의 역할을 하는 ‘대칭 다항식’을 조립해 모든 대칭 다항식을 표현해보는 겁니다. 암기 위주의 접근을 피하기 위해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기계 언어는 호환성도 없다. 특정 명령문을 기계 언어로 바꿔 하나의 CPU를 실행시킨 뒤, 같은 명령문을 다른 제조사에서 만든 CPU에 입력하면 동작하지 않는다. 같은 제조사가 만든 CPU라고 하더라도 버전이 다르면 다른 기계 언어에 동작한다. 이는 CPU가 ‘어떤 언어’를 이해해 실행하는 실행기일 ... ...
- [똥손 수학 체험실] 내가 만드는 마이보 퍼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미술 작품이에요. 유리에 여러 색깔을 입혀서 다양한 도형이나 그림 모양으로 잘라낸 뒤, 조각들을 다시 이어붙여 완성해요. 스테인드글라스 만드는 기법을 이용해 직소 퍼즐을 만들 수도 있어요. 직소 퍼즐은 작은 조각으로 나뉜 그림을 원래대로 맞추는 게임이에요. 직소 퍼즐의 조각은 보통 ... ...
- [특집] 튀르키예의 지진으로 우리나라 지하수도 출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있던 오염물질이 지하수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하수 수위가 변화한 뒤 오랫동안 원래 상태로 돌아오지 않는 것도 큰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이 연구원은 “원래 지층에 있던 지하수보다 양이 적거나 많으면 지반이 약해져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지요. 이 연구원은 ... ...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지역은 가중치가 크게 반영되겠죠. 그래서 과학자들은 지구를 수천 개의 격자로 나눈 뒤 관측 자료가 없는 격자에는 실제로 관측한 값이 아니라 추정한 기온 값을 넣어 평균 기온을 계산합니다. 이렇게 평균 기온을 계산하면, 과거 평균 기온과 차이를 구해 편차를 발표합니다. 기온의 차이인 편차를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