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외기
에어
대령
사후
만지기
달기
d라이브러리
"
대기
"(으)로 총 3,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타고 온 얼음 결정들이 쌓인 것일 뿐 남극점의 강수량은 연간 수mm에 불과하다. 따라서
대기
중 물 분자가 전파를 흡수해버릴 염려가 적다. 그는 남극점의 아문센-스콧 기지에 머물며 기지에서 약 1km 떨어진 암흑 영역 실험실(DSL) 건물에서 구경 10m인 전파망원경 ‘남극점 망원경(SPT·South Pole Telescope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방법을 소개한 기사였다. 간단한 신경계를 가진 사막개미가 뜨거운 사막에서 태양빛이
대기
에 부딪혀 발생하는 편광을 활용해 방향과 위치를 찾는다는 내용은 호기심을 마구 불러일으켰다. 마침 자율연구주제를 찾고 있던 나는 사막개미의 시각 원리를 바탕으로 한 연구를 기획했다. 실내 공간에 ... ...
[천리안 2B호] 위성 본체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관측이 필요한 기상탑재체만 달고, 기상보다는 비교적 느린 변화를 보이는 해양과
대기
환경 관측은 천리안 2B호에 두 탑재체를 함께 달아 30분씩 번갈아 운용하기로 결정했다. 진동 외에도 다양한 요소들이 정지궤도위성의 관측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천리안 2B호에 태양전지판이 한쪽에만 달린 ... ...
영구동토, 온실 기체를 뿜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정수종 교수는 “탄소 저장 시간이 13.4% 줄어들었다는 건 영구동토 속의 탄소 1400Pg이
대기
중으로 모두 나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140년에서 121년으로 줄어들었다는 뜻”이라고 심각성을 강조했지요 ... ...
미세먼지 감시하러 떠나는 ‘천리안 2B호‘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내려다보며 한반도 주변의
대기
와 해양을 관측한다. 천리안 2B호에 실린 환경탑재체는
대기
오염 물질을 감시해 미세먼지를 추적하고, 해양탑재체는 해양 생태계를 관측하며 해양 재난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보낸다. 세계 최고의 성능으로 세계 최초의 관측을 이뤄낼 천리안 2B호의 ... ...
2020년 vs. 2030년 에너지 다이어리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혜택으로 결제 시 리터(L)당 60원을 할인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두 번째 현타.
대기
전력 줄이는 데는 관심이 없던 내가 어느 주유소가 몇십 원 더 싼지는 까다롭게 따지고 있다. 기름 같은 화석연료도 결국 에너지인데 말이다. 이동하는 차 안. 내가 하루 동안 쓰는 에너지는 얼마나 될지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천문관측기구)를 만들어 봐라”라고 말한다. 세종시대 천문학자였던 김돈이 작성한 간의
대기
(簡儀臺記)에는 1432년 가을 세종이 경연 자리에서 간의와 같이 조선의 하늘을 관측할 천문 기구(의기)를 제작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밝히고 있다. 또 1432년부터 1438년까지 약 7년에 걸쳐 청동으로 제작한 1 ... ...
수학으로 본 기후변화의 미래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달, 길게는 몇십 년을 예상해야 하는 만큼 정확한 모형을 개발하기가 쉽지 않아. 그래서
대기
운동만 고려하는 기상 모형을 먼저 개발하고 이를 발전시키지. 최근 한국에서 새로운 기상 모형을 만들었대. 매스 아일랜드에서도 화제라고 하더라고. 바로 장장 8년간의 연구 끝에 완성된 한국형 수치 ... ...
가짜뉴스와의 전쟁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방사능 오염수와는 무관하게 대지진으로 생긴 쓰나미의 높이를 보여주는 미국 국립해양
대기
청(NOAA)의 자료였다. 그런데 아직도 후쿠시마 오염수의 전파와 관련된 자료로 인용되고 있다. 가짜뉴스를 탐지할 방법은 없을까. 빅데이터와 AI를 통해 온라인에서 수백만 건의 글을 분석하면 정보가 전파된 ... ...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주거나, 태양계 외부에서 유래한 우주선 입자가 구름 형성에 영향을 주거나, 혹은 금성의
대기
중 이산화황 가스가 황산 구름층에 변화를 불러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금성 관측을 계속 이어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변화의 원인을 찾으면, 금성의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