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련데이터"(으)로 총 1,42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한국 정부에서 과학자들에게 주는 연구비 규모도 이제 세계적인 수준이 됐는데, 한국의 연구비 생태는 어떤 상황일까. 1파트에서 살펴 본 ‘노벨 생태계’처럼 과학자들의 자유로운 연구를 지원하고 있을까.취재팀이 국내 과학기술분야 연구자 10명을 인터뷰한 결과, 안타깝게도 한국의 연구비 지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edical Research Council·MRC)가 1947년에 세운 분자생물학연구소는 영어 약자로 ‘LMB’라고 불린다. 처음에는 캐번디시연구소 안에 설치한 연구 그룹이었지만, 곧 다양한 성과를 내며 독자적인 연구소로 성장했다. 기자가 LMB에 주목한 이유는, 2000~2015년 사이 노벨상 수상자 6명의 핵 ...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공대의 수학과’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컴퓨터공학부는 수학과 관련이 깊다. 대학에 입학하면서부터 귀에 딱지가 생길 만큼 자주 듣는 알고리즘을 수학으로 설계하기 때문이다. 허충길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고등학생 시절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나갈 정도로 수학에 관심이 많았다. ...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매년 10월 첫 주. 많은 한국인의 이목이 스웨덴 노벨위원회에 집중된다. 하루 한 분야씩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하기 때문이다. ‘올해는 우리나라 과학자가 노벨과학상을 탈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각종 매체에 과학자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하지만 매년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하는 경험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과학이라는 생태계를 숲에 비유하면, 연구비는 숲을 풍요롭게 가꾸는 양분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은 세계 6대 과학기술 연구개발(R&D) 투자국이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장 많은 연구비(4.29%)를 지원하고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노벨상 수상을 기대하는 이유도 이처럼 과감한 투자에 있다. 하지만 과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5년 전 어느 봄날이었다. 김민수 DGIST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는 편안한 마음으로 학교에서 매주 개최하는 융합세미나에 참석했다. 다른 전공 교수가 자신의 연구를 소개하는 세미나여서 부담 없는 시간이었다(게다가 점심까지 해결할 수 있었다!). 이날 주제는 ‘후각수용체와 그 활용’. 구재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는 인간의 뇌신경 연결지도를 만든다는 목표로세계적인 뇌과학 연구자들이 지난 2005년 출범시킨 공동 연구다.이번 여름휴가는 어디로 다녀오셨나요? 예전에 가봤던 곳을 잊지 못해 또 가보셨나요, 아니면 새로운 곳을 향해 떠나셨나요. 저는 이번에 잘 알려지지 않은 곳으로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예전 경영의 중심은 ‘썰’이었다. 전문가의 말 한마디가 기업의 의사결정을 좌지우지했다.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할 필요를 느낀 기업들은 선호도나 만족도 등 지표를 조사하고 측정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제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경영의 새로운 트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장내미생물의 기원이 이제야 서서히 윤곽을 보이는 것과 달리, 장내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전부터 뜨거웠다. 불을 당긴 건 미국 워싱턴대 제프리고든 교수팀이었다. 2006년 ‘네이처’에 장에 사는 세균에 따라 날씬해지거나 살이 찔 수 있다는 쥐실험결과를 공개한 이후, 장내미생물은 한 순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노벨상 수상자 111명과 과학자와 일반 시민 5769명이(8월 17일 기준) 환경 운동단체에게 유전자변형작물(GMO)을 반대하는 활동을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과학자와 환경단체 사이의 갈등이야 간혹 있어왔던 일이지만, 이렇게 노벨상 수상자들이 단체로 환경단체의 활동을 비판하고 나선 건 이례적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