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모든 수소가 친환경적이지는 않아요. 수소는 생산방식과 친환경 정도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먼저 물을 전기 분해하면 수소가 나와요. 이 과정에서 태양광, 태양열,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해 오염물질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면 ‘그린수소’라고 불러요. 진정한 친환경 에너지라고 ... ...
- [DATA MATH] DART 팀 구성원과 수학자의 역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약물 중독을 연구했는데, 이 연구에 관해 설명해 주세요. 약물 중독 환자를 총 다섯 가지 그룹으로 분류한 뒤 각 그룹의 변화를 알아봤어요. 예를 들어서 약물에 중독된 사람,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재활 중인 사람 등으로 나눈 다음 어떤 그룹에 들어오는 사람과 나가는 사람들을 추적했어요. 이러한 ... ...
- [특집] 순간이동이 당연해진 세상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작가, 그리고 과학동아 독자에게 순간이동이 당연해진 세상은 어떤 모습일지 물었다. 네 가지 이야기가 자아내는 낯설면서도 익숙한 세상 속으로 한 발짝 내디뎌보자. 외계행성에서 벌이지는 국경분쟁➡ 유채현 독자“지구를 떠나 다른 행성으로 간다면 순간이동이 로켓보다 편리할 거예요. 하지만 ... ...
- [인포그래픽] 양자전송과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자암호통신의 별명이다. 얽힘과 중첩, 불확정성과 비가역성까지, 양자의 네 가지 성질 덕에 양자암호통신을 해킹하기란 불가능하단 의미에서 붙었다. 양자상태를 보내는 양자전송은 흔히 ‘양자의 순간이동’이라고도 불린다. 양자가 뭐길래 이런 거창한 별명이 붙는 것인지 그 원리를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상의 입자들 사이의 다중입자 양자얽힘 상태를 만들고 이들을 다수의 참여자가 나눠 가지는 다자간 양자채널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중입자 양자얽힘은 두 입자 간 양자얽힘에 비해 생성하기가 어렵고 광손실에 더 취약하다. 따라서 다자간 양자채널은 기존 두 노드간 양자채널보다 구현하기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강도와 탄성 두 마리 토끼 잡은 초탄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초탄성 금속이 상용화되면 아무렇게나 엎드려 자도 망가지지 않는 안경도 개발할 수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전 세계는 아이디어를 겨루는 중이다. 여러분의 아이디어가 곧 한국의 경쟁력이다. ※필자소개한승전. 1990년 부산대 무기재료공학과, 1997년 KAIST 재료공학과를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쏟아집니다. 하지만 광음향 영상기술을 실제 임상에 다양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선행돼야 합니다. 기본적으로는 기존 초음파 촬영기능을 100% 유지하면서 광음향 영상도 추가로 찍을 수 있는 장비가 개발돼야 합니다. 그래야 기존의 초음파 영상 촬영 프로토콜에 따라 광음향 ... ...
- [광고]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기후행동 1.5℃ 토크콘서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용하고, 일회용컵보다는 머그컵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며 “이런 사소한 것들을 한 가지씩 해나가다 보면 다들 탄소중립을 잘 실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지요.토크콘서트를 참관한 조관호 독자 기자는 “전 세계 정부가 지구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로 제한하자는 약속을 했다는 ... ...
- [냠냠! 어수잼] 세 자리 수를 알아볼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가까운 곳에 사는 펭귄끼리 거대한 얼음덩어리에 모여 같이 출발하기로 했어. 단, 집으로 가지 않고 옆 마을로 놀러 가기로 한 펭귄 4마리는 따로 남았지만 말이야. 10마리의 펭귄이 탄 얼음덩어리는 모두 10개야. 얼음덩어리 하나는 10마리, 두 개는 20마리, 3개는 30마리…. 이렇게 10마리씩 묶어 세니까 ... ...
- [꿀꺽! 수학 두 입] 클로버 잎 4개는 행운, 숫자 4는 불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속에서 행운을 뜻하던 숫자는 무엇이었을까요? 바로 3이에요. 동양에서는 하늘, 땅, 사람 3가지가 모여서 우주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믿었어요. 따라서 3은 균형과 완전함을 뜻하게 됐지요. 우리나라의 건국 신화★에도 하늘의 신 환인, 환인의 아들 환웅, 환인의 손주 단군 이렇게 3명이 인간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