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조자료
전거자료
인용자료
관련자료
참고문헌
d라이브러리
"
참고자료
"(으)로 총 54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II 신문경쟁의 핵「CTS시스팀」
과학동아
l
198908
언론규제가 풀리면서 신문의 자유경쟁시대가 막이 열리고 속속 새로운 신문들이 창간되고 있다. 신생언론들은 하나같이 ‘신문제작의 현대화 과학화’를 내세워 CTS시스팀을 도입하고 있다. 게다가 기존 일간지들도 사옥신축 등을 계기로 90년대 초반까지 대대적인‘CTS화’를 계획하고 있어 CTS시 ... ...
디베이스 프로그램의 기초
과학동아
l
198908
디베이스는 프로그래밍하지 않아도 쓸 수 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을 배워두면 풍부한 디베이스의 진수를 음미할 수 있다.이 연재강좌는 PC초보자들을 위해 디베이스Ⅲ 의 사용법을 총 6회에 걸쳐서 소개한다는 취지로 시작된 것이다. 그 목적이 얼마나 달성되었을까 하고 걱정하는 가운데 벌써 기 ... ...
디베이스 강좌③ 데이타를 자유자재로…
과학동아
l
198906
자료는 가공되지 않은 원시목과 같다.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자료를 다듬는 작업은 원목으로부터 고급가구를 만드는 것에 비견된다.전화를 들고 114를 누른 다음 "○○실업의 전화번호를 부탁합니다"하거나 "신사동의 김철수 전화번호를 알 수 없을까요?"라고 말하면 몇초 안에 원하는 숫자를 얻 ... ...
한국인의 얼굴 모습 달라져
과학동아
l
198905
한국인의 평균 얼굴은 어떤 모습일까? 대체로 편평한 얼굴과 그리 높지 않은 코, 그리고 살짝 나온 광대뼈를 연상한다. 이를테면 몽고인종의 특징적인 모습들을 떠올리는 것이다. 아울러 세계 인종 중에서 가장 현저한 옆 짱구(단두)도 한국인의 특색중의 하나다. 또 두고(頭高, 귓구멍에서 머리끝까 ... ...
자료관리는 정보활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8905
아무리 많은 자료를 가지고 있어도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게끔 만들어 놓지 않으면 그 자료는 무용지물이다.어느 사이엔가 우리들은 데이타(data)란 용어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되었다."데이타가 충분한가?" "그의 데이타는 믿을 수가 없어" "다년간 축적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등의 말에서와 데이 ... ...
데이타베이스 강좌① 디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
과학동아
l
198904
자료관리 능력은 개인의 역량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가 되고 있다. 컴퓨터를 통한 효과적인 자료관리를 위해 데이타베이스 강좌를 개설한다.이 번호부터 약 6회에 걸쳐서 IBM PC 호환기종에서 가장 인기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중의 하나인 dBASE Ⅲ PLUS의 사용법 강좌를 연재하려고 한다(앞으로는 ... ...
현장학습 경험 되살려 주입식 교육 탈피 노력
과학동아
l
198903
심정 : 대만 지질 학습탐사가 이제 끝났읍니다. 짧은 일정이긴 하지만 평소에는 쉽게 접할 수 없는 해외탐사였고 오랜만에 가르치는 입장을 떠나 배우는 입장에서의 현장학습은 의미가 있었을줄 압니다. 탐사기간 동안 보고 느낀 점을 말씀해주시고, 앞으로 이 행사가 좀더 충실하게 진행될 수 있게 ... ...
조그만 카셋 테이프에 서류 50만장을 보관한다
과학동아
l
198903
K씨는 매우 당황했다. 그는 지금 국제전화로 상담을 하고 있는데, 그것은 지난 1년간을 끌어온 프로젝트에 관련된 것이었다. 문제는 8개월 전에 상대측에 보냈던 편지의 내용을 빠른 시간내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것과 그 편지가 회사의 수십만 페이지의 서류 속에 있어서 그것을 비서들이 찾기까 ... ...
학력고사 출제위원장이 들려주는 얘기 "열가지 기능보다 한가지 이론이 더 낫다"
과학동아
l
198901
경우 같은 문제에 엉뚱한 해석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사전에 방지할 목적으로 확인
참고자료
를 뒤져보는 것이다. 오래 전에 경기중학교 입학시험 문제중 큰 물의를 일으켰던 '무우즙사건'을 교훈으로, 유사한 사건이 터지지 않도록 대비하는 것이다.교과서에는 이제 낼 문제가 없다고 하는 말이 ... ...
아르메니아의 대참사를 계기로 다시 알아본다 지진은 왜, 어떻게 발생하나
과학동아
l
198901
지진계가 발견된 이후 지진의 정체는 하나하나 벗겨지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지진예보를 내기에 이르렀다.지난 12월 7일 소련 남부 아르메니아 공화국에서 큰 지진이 발생하여 수만명이 사망했다. 이 지진은 1976년 중국 당산(唐山)에서 일어나 약 65만명의 인명을 앗아간 지진이후 가장 큰 인명피해를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