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로젝트
기획안
연구주제
d라이브러리
"
연구과제
"(으)로 총 1,41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12
생체 내에 특히 방사선의 피해를 쉽게 받는 부위를 조사하는 것이 방사선 생물학 초기의
연구과제
였다그 후 많은 연구를 통해 척추동물의 조혈조직 · 장점막 등이 방사선에 특히 높은 감수성을 가진다고 밝혀졌다방사선의 조사(照射)로 인해 물질(주로 고체)의 구조가 흐트러져(격자결함(格子缺陷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12
‘인체는 좌우대칭이다. 그런데 왜 우리는 한쪽 손으로는 능숙하게 글씨를 쓰면서 다른 쪽으로는 연필을 쥐는 것도 어색할까. 그리고 능숙한 쪽이 대부분 오른손인 이유는 무엇일까.’대부분의 사람들은 살면서 가끔씩 이런 의문을 갖게 된다. 지난 수천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이에 대해 생각해왔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11
몸길이가 고작 0.2-10mm인 진드기가 사람의 몸에서 피를 빠는 모습은 얼마나 끔찍할까? 우리 몸을 70%나 차지하는 물이 생명 유지 위해 세포 안팎을 어떻게 이동할까? 이런 궁금증이 있다면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시각화 작품을 보면 된다.지난 9월 24일 미 과학재단과 과학전문지 사이언스는 공동 개최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수식을 풀고 해석하는 분야를 계산수학이라 한다. 이 교수팀
연구과제
의 하나인, 미분방정식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구현을 예로 들어보자. 해변에서 파도가 밀려오는 장면을 상상해보자. 예전 같으면 1초에 수십장 분량을 일일이 손으로 그려야했다. 요즘은 컴퓨터 그래픽이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11
거미줄에 걸린 파리가 몸을 바둥거리자 포식자 거미가 슬금슬금 다가가 침을 꽂고 액체를 주입한다. 이 액체에는 먹이를 꼼짝 못하게 만드는 강력한 마취 성분은 물론 내부 기관을 흐물흐물하게 녹여버리는 ‘소화제’ 가 들어 있다. 남은 일은 먹이를 ‘후루룩’ 빨아먹는 일뿐.인간보다 훨씬 전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10
소수 과학자들이 2000년 1-2월 원자력발전소의 핵연료 국산화 차원에서
연구과제
를 수행하던 중 우라늄(U)을 분리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당초 과학자들의 연구대상은 ‘우라늄’ 이 아니라 ‘가돌리늄’ (Gd)이라는 원소였다.한국원자력연구소의 장인순 소장은 “가돌리늄은 핵반응을 일으키는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10
초가을 단비가 촉촉이 내린 지난 9월초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편에선 공사가 한창이었다. 흡사 주유소를 본딴 듯한 이 건물의 정체는 올 10월 1차 완공을 앞두고 있는 ‘한국형 수소충전소’. 국내에선 처음으로 설립되는 수소제조시설이자 수소차량전용 연료공급 시설이다. 차세대 에너지로 지 ... ...
북한, 토끼 복제
과학동아
l
200410
미국의 과학저널 ‘사이언스’ 의 기자가 북한을 1주일간 방문하고 쓴 기사가 이 저널 9월 17일자에 실렸다.북한 과학의 현주소를 소개한 이 기사에서 리차드 스톤 기자는 북한이 복제했다고 주장하는 토끼도 봤다며 그 사진을 실었다. 북한 실험생물학연구소가 지난 2002년 성공했다는 복제토끼가 ... ...
6. 재미가 두뇌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09
최근 정보통신부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터넷 사용인구 3천만명 중 54.1%가 게임을 즐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터넷 인구 2명당 1명꼴로 인터넷에서 게임을 한다는 얘기다. 이는 게임을 하는 행위가 이제는 보편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게임이란 가상공간의 등장이 일상의 삶을 예상치 못한 ... ...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과학동아
l
200409
최근 저명한 이론 물리학자인 영국 케임브리지대 스티븐 호킹 교수가 30년간 견지해온 자신의 이론을 철회했다. 과연 무엇이 그로 하여금 이런 결단을 내리게 했을까. 그리고 왜 과학자들은 그의 새로운 이론에 그렇게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일까.1975년 호킹은 현대물리학의 양대 산맥인 상대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