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3,22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과학동아 l201411
- 알았는데 아니더군요.” ‘코걸음쟁이’는 핵실험으로 생긴 ‘코쟁이류’라는 동물을 소개한 책이다. 재밌게도 10여 종에 달하는 이 동물은 모두 ‘가짜’다. 하지만 책 어디서도 이 사실을 눈치 채기 힘들 만큼 설명과 그림이 논리적이다. 이 책의 저자는 시와 그림에 조예가 깊은 독일의 동물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11
- 2011년 8월 폭탄 테러 날짜를 예측하는 공식을 만들어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소개했다. 물론 처음 일어나는 폭탄 테러를 예측하는 공식은 아니다. 이 방정식은 두 번의 폭탄 테러가 똑같은 장소에서 일어난다고 가정했을 때 두 공격 사이의 시간 간격을 방정식에 넣으면 다음 공격까지 ...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11
- 보세요.” _심원초 5년 이태연 양 스크래치로 나만의 게임 만들기!독자들은 ‘우리 팀을 소개할 수 있는 게임 만들기’라는 마지막 미션을 받았다. 시간은 단 50분. 과연 어떤 게임을 만들었을까?1Team 용과 기사 -김윤지, 박시후, 원예린간단한 피하기 게임을 만들었습니다. 슬라이드를 이용해 기사를 ... ...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10
- 어떻게 이렇게도 닮았을까요? 아니 어떻게 이렇게 닮은 사람들을 찾아 낸 걸까요?작가소개프랑수아 브뤼넬(Fran ois brunelle)은 서로 닮은 사람들 사진으로 유명한 캐나다의 사진작가예요. 전혀 남남이지만 쌍둥이처럼 닮은 사람들의 사진을 친구들을 위해 보내줬답니다. 더 많은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10
- 한다. 손으로 푸는 퍼즐은 직접 만져가며 푸는 퍼즐을 말하는데, 마틴 가드너가 칼럼에 소개해 화제가 된 소마 큐브와 중국에서 시작된 칠교놀이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손을 써가며 푸는 퍼즐을 ‘기계적 퍼즐’이라고 부른다.기계적 퍼즐은 특성상 외형과 창의성이 퍼즐의 우수함을 판단하는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10
- 및 인지과학과 콜린 알렌 교수는 저서 ‘왜 로봇의 도덕인가’에서 세 가지 접근법을 소개했다. 도덕적인 원칙에 맞춰 로봇의 판단을 결정하는 ‘논리 기반 접근법’, 다양한 사례에서 자신의 판단 근거를 찾아내는 ‘사례 기반 접근법’, 여러 사람의 행동이 맞부딪힐 때 어떤 결과를 낳는지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10
- 방어하는 것도 생존에 무척 중요한 문제다.이곳에서 밝혀진 재미있는 연구를 하나 소개하자. 야생담배가 만들어 내는 니코틴은 원래 사람에게 중독을 일으키기 위한 게 아니라 메뚜기를 포함해 풀을 먹는 곤충에게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다. 하지만 만두카 섹스타(Manduca sexta, 이하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10
- 논문이 통과되기 1년 전, 지도교수였던 존 휠러가 양자역학의 대가 보어를 방문해 논문을 소개했다. 하지만 보어의 반응은 냉담 그 자체였다. 양자역학을 거부하던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떠난 지 1년밖에 안된 시점이었다. 새로운 논쟁거리 자체가 보어에게는 진절머리 나는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 ...
- [특별인터뷰 2] “수학동아는 매달 저를 설레게 해요”수학동아 l201410
- 초등학생부터 일반인까지 누구나 읽어도 유익해요. 수학에 대해 이렇게 자세히 소개하는 책은 국내 어디에도 없거든요. 초등학교 1학년인 제 아들도 만화를 한 호도 빼먹지 않고 보면서 수학을 친근하게 느끼고 있어요. 그런데 고등학생들은 수학동아를 어린 친구들이 보는 잡지로 생각하는 것 ... ...
- [화보] 열매의 아찔한 유혹수학동아 l201410
-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식물의 번식을 결정짓는 열매의 아찔한 생존 전략을 소개한다.스스로 움직일 수 없다면, 기회를 노려라!식물들은 생존을 위해서 씨앗을 널리 퍼뜨려야 한다. 하지만 식물은 스스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주로 동물이나 물, 바람의 힘을 빌린다. 바람에 씨앗을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