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0건 검색되었습니다.
검지가 약지보다 짧다면 관절염 조심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3.05
걸리는 빈도가 높고 증상이 더 심각하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류머티즘학’ 저널 4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무릎 관절염을 앓는 호주 사람 1만 4511명을 대상으로 2001~2011년까지 10년 6개월간 진료기록을 추적 조사했다. 해당 기간 중 580명이 무릎 관절 교체 수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
임산부 웰빙식단이 건강한 아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5
’을 먹으면 조산의 위험성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영국 의학 저널(BMJ)’ 4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2002~2008년 출산한 산모 6만 6000명의 조산 여부와 그들이 먹은 식단을 비교분석했다. 우선 식단을 웰빙식(prudent)과 전통식, 서구식 총 3종류로 구분했다. 웰빙식은 야채와 과일의 ... ...
달콤한 꽃 향기, 알고보니 살균제?
동아사이언스
l
2014.03.05
Pixabay 제공 식물의 달콤한 냄새가 유해균을 잡는 능력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농촌진흥청 화학물질안전과 김진효 연구사와 중앙대 시스템생명공학과 정원희 교수 공동 연구 ...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 원’ 지난달 20
일자
에 실렸다 ... ...
기후 변화가 기아로 고통받는 이들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4
전통적으로 재배하던 곡식의 수와 품종이 줄어들고 있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
일자
에 발표했다. 50년 동안 급격히 늘어난 품종은 밀과 옥수수, 콩. 오늘날 전 세계 국가 중 97.3%가 주식으로 밀을 재배하고 있으며, 옥수수는 74.3%의 나라에서 재배 중이다. 쌀은 전 세계 국가 90.8%에서 ... ...
샤넬 No.5는 염소 페로몬에서 영감을 받은 향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사실을 확인했다. -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3월 17
일자
(온라인에서 미리 공개됐다)에는 염소의 페로몬 성분을 발견했다는 논문이 실렸다. 페로몬은 작용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는데, 하나는 릴리서페로몬(releaser pheromone)으로 상대의 행동변화를 유발하는 ... ...
돌연변이가 2형 당뇨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증세가 악화되지 않거나, 경미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네이처 지네틱스’ 2
일자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 2형 당뇨는 인슐린을 합성하지 못하는 '소아 당뇨'로 불리는 1형 당뇨와 달리 인슐린이 제 역할을 못하는 ‘인슐린 저항성’ 증가가 원인이다. 연구팀은 스웨덴과 핀란드 등에서 ... ...
남아가 여아보다 자폐증이 많은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밝혀내고 학술지 ‘셀’의 자매지 ‘인간 유전체 학술지(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27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워싱턴대 에반 아이클러 약학과 교수팀과 함께 자폐증 환자 1만 6000명과 자폐를 겪는 구성원이 있는 600가구의 D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비슷한 수준의 자폐 증세를 가진 ... ...
1년 내 유행할 독감 바이러스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시뮬레이션을 통해 변종 바이러스 출현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 네이처 온라인판 28
일자
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면에 붙은 해마글루티닌 단백질의 염기서열 3944개의 유형을 분석했다. 해마글루티닌은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단백질로 H5N1처럼 인플루엔자 유형을 분류할 때 ... ...
136억 살 최고령 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2.28
켈러 박사팀은 136억 년 전에 탄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별을 발견해 ‘네이처’ 2월 9
일자
에 발표했다. 이는 약 137억 년인 우주 나이와 거의 비슷하다. 연구팀은 이 별의 철 함유량이 태양의 100만분의 1에도 못 미치며 현재 알고 있는 어떤 별과 비교해도 60분의 1 미만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 지식과 ... ...
에베레스트 산보다 높이 나는 벌?!
과학동아
l
2014.02.28
미국 캘리포니아대 통합생물학과 마이클 딜론 교수가 ‘왕립학회보 생물학회지’2월 4
일자
에 발표했다. 딜론 교수는 벌이 얼마나 극한 환경에서 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중국의 산에서 해발 3250m에 사는 산뒤영벌 수컷 6마리를 채취했다. 채취한 벌을 밀폐된 용기에 넣고 산소 농도와 공기 ... ...
이전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