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력
원조
협조
보조
후원
지원
제휴
d라이브러리
"
도움
"(으)로 총 8,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변신! 패션왕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불렸던 이 형돈이가 패션프로그램에 이어 패션쇼 MC까지 맡게 됐다고. 하하하~! 수학의
도움
을 받아 때 빼고 광도 조금 냈지. 그런데 패션쇼 하고는 전혀 안 어울리는 패션 센스를 가지고 있는 저기 저 여학생은 뭐지?뭐? 좋아하는 남학생이 생겨 변신을 원한다고? 저 상태라면 남자 친구 만들기 ... ...
위를 운동시켜 뱃속에 평화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가끔 뱃속에서는 전쟁이 난다. 한 번 나면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꾸르륵, 하는 정체모를 소리부터 더부룩한 느낌까지 불편함이 종일 계속된다. 때로는 위장이 꼬이는 것처럼 통증이 있기도 하고 속이 쓰릴 때도 있다. 이 때 집어 드는 게 소화제다. 순식간에 뱃속에 평화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
교차로 신호 체계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원리가 아니어도 좋다포트폴리오 주제를 찾다가 지친 학생들 중 일부는 주변사람의
도움
을 받아 중학생 수준에 어울리지 않게 지나치게 전문적인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경우가 있다. 자신이 배운 수학적 소양을 넘어서는 포트폴리오는 오히려 학생의 역량과 탐구심을 반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 ...
Morning Routines Are Creativity Killers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못한 아이디어들이 연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침에 일어나서 바쁘게 돌아다니는 것은
도움
이 되지 않는다.스트레스를 받으며 출근하거나 온라인 뉴스를 보는 것도 좋지 않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이 분비돼 뇌세포를 감싸는 지방질인 미엘린을 파괴한다. 미엘린 덮개가 파괴되면 뉴런 ... ...
중국의 생태사진가 '왕창 찍땅'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아~, 기대된다, 기대돼~. 올해는 어떤 사진들이 있을까?”썰렁홈즈가 아침부터 분주하게 옷을 입고 있다. 중국 최고의 생태 사진작가 ‘왕창찍땅’의 개인 사진전에 초대받았기 때문이다.“큭큭, 지난번에는 남극 펭귄이 빙하 아래로 똥 싸는 장면을 리얼하게 찍어서 지구 온난화를 표현했지.”썰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지구궤도까지 확산됐을 것이다.연구팀은 선그레이징 혜성 관측이 태양 코로나 연구에
도움
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가열된 혜성물질은 이온화된다. 이온화된 물질은 태양의 자기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혜성이 태양에 돌입하고 있는 모습을 조사하면 태양의 자기장 구조를 조사할 수 있다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유진로봇은 멀리 있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데
도움
을 주는 원격의료 로봇 ‘로보메디’를 개발하고 있다. 담당 의사가 해외 출장을 갔거나 자리를 비웠을 때 환자에 문제가 생기면 로봇을 병실에 있는 환자에게 보내 로봇을 매개로 원격으로 대화하거나 ... ...
경험하라. 학교가 기회를 줄 테니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유네스코반’에서는 학생들 스스로 국제이해 활동을 한다.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도움
을 주기 위해 기자나 CEO 등 다양한 직업인을 초청해 강연하는 ‘희망직업 콘서트’도 열었다.영재학급,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하라문산여고에는 ‘지역공동영재학급’이 개설돼 있다. 2009학년도부터 운영한 ... ...
성공도 실패도 모두 노력의 흔적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후배들을 위해 ‘보성고 솔루션’을 만들고 있단다. 자신의 노하우를 담아 후배들에게
도움
을 주고 싶다고 말하는 대환 군의 모습에서 의젓함이 느껴졌다.하루에 한 과목씩 완성한다넉넉하지 않은 집안 사정에도 열심히 뒷바라지해주시는 부모님을 생각하면 절대 공부를 게을리 할 수 없었다.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장애 때문에 낙담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청력장애가 “보다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데
도움
이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소리를 기록으로 남기려는 목적으로 음(音)을 기록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897년 원통에 감은 얇은 주석판 위에 진동판의 작은 바늘로 음파에 상응하는 홈을 새기고 ... ...
이전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