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속 주인공처럼 누군가 투명망토를 두르고 악동처럼 웃음 짓는 모습을 과연 현실에서
볼
수 있을까.불가능을 현실로 바꾼 메타물질2008년 4월 미국의 이론물리학자로서 다수의 베스트셀러 과학서적을 낸 미치오 카쿠 박사는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에 ‘불가능의 물리학(Impossible physics: Never say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인지가 뛰어난 센서나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어하는 전자공학이나 전산학 등이 그 사례라
볼
수 있다.커넥톰 연구에서 핵심이 되는 연결구조의 분석은 수학자 오일러로부터 시작된 그래프 이론을 통해 수학계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돼 왔다. 이 분야의 대표적인 연구자인 미국 인디애나대 심리학 및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요인들은 생각보다 많아. 그 중에서 친구들이 궁금해 할 만한 몇 가지 연구를 소개해
볼
게.왜 인기에 연연하게 될까?학교에는 조용하지만 신중한 성격을 가진 친구, 덜렁대지만 유쾌한 친구, 끼가 넘치는 친구 등 저마다 개성을 가진 친구들이 있다. 그래서 서로 마음이 맞는 친구도 모두 다르다.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나선 모양과 거의 비슷한 모델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나선이 만나는 부분에는 선인장이
볼
록하게 올라오고 가시가 생긴다는 사실도 알아 냈어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천재 식물에게 배운다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식물에게 한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얻었던 것입니다. 2개의 일차방정식을 쌍으로 놓고 푸는 연립 일차방정식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서양보다 앞선 동양의 방정식 서양에서도 연립 일차방정식을 다루었지만, 산학처럼 간편하게 계산하게 된 것은 상당한 시간이 지난 뒤였습니다. 여러 수를 사각형으로 나열한 ‘행렬’은 ... ...
개굴 개굴 봄이 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훌륭한 휴식처가 되었네요. 꽃보다 참개구리!참개구리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류로, 흔히 ‘논개구리’라고도 불러요. 수컷은 턱쪽에 있는 한쌍의 울음주머니를 이용해암컷을 부르는 울음소리를 낸답니다. 배고파요, 개굴!긴 겨울잠에서 깼으니 배가 정말 고프겠죠! 참개구리는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청소부들을 나르는 곤돌라 크레인이다.짐 나르기의 달인, 크레인크레인은 놀이터에서
볼
수 있는 시소와 비슷한 원리로 움직인다. 한쪽에 친구가 올라가면 다른 쪽에 친구랑 같은 무게의 물건을 올려 놓아야 시소가 한쪽으로 주저앉지 않는다. 친구랑 물체의 무게가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 ...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알 수 없는 미로정원이 생겼지요. 베르사유궁전 미로정원이 대표적이에요. 지금은
볼
수 없지만 이 미로에는 토끼와 거북처럼 이솝우화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한 39개의 분수가 있었어요.이런 미로정원을 탈출하는 방법을 연구한 사람은 다름 아닌 수학자예요. 미국의 수학자 노버트 위너는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필요는 없다 오일러 회로와 경로는 모든 변, 즉 모든 길을 다 지난다. 하지만 전시를
볼
때 전시물만 보면 되지 모든 길을 다 지날필요는 없다. 모든 점만 다지나면 된다는 이야기다. 이를 연구한 사람이 해밀턴이다. 해밀턴은 모든 꼭짓점을 단 한 번만 지나는 회로와 경로를만들었다. 회로는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1μm=10-6m) 크기의 물체를 집는 집게가 있다. 얼마나 정교한 집게이기에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미세 물질을 제어할 수 있을까. 이 신기한 집게를 보기 위해 광주과학기술원을 찾았다.보이지 않는 힘을 따라 움직이는 나노입자“세포를 집는 집게를 보러 오셨다고요. 그런데 어쩌죠. 이 집게는 눈에 ... ...
이전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