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뉴스
"
특정
"(으)로 총 5,46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눈동자에 대해 저자들은 천적을 감시하는데 최적화된 결과라고 해석한다. 초식동물은
특정
한 개체를 주시하는 게 아니라 언제 어느 방향에서 급습할지도 모르는 천적을 경계해야 한다. 따라서 눈도 표적에 초점을 맞추는 양안시형이 아니라 좌우로 많이 벌어져 있는 단안시형이다. 즉 두 시야가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하는 총지휘관인 셈이다. 먼저 p53 단백질은 전사인자로 작용한다. 전사인자란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연구 결과 p53 단백질은 발암유전자인 MDM2의 발현을 억제한다. 유전자를 조작해 p53 단백질이 없는 쥐를 만들 경우 이 쥐는 수주 뒤 몸 여기저기에 종양이 생기고 6개월 쯤 ... ...
식물이 ‘TNT’ 공격에 살아남는 법
2015.09.06
강력한 폭발력으로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사용된 TNT(2,4,6-트리나이트로톨루엔). TNT는 폭약의 임무를 수행한 뒤에도 오랫동안 토양에 남는 독성물질이다. 이 독성은 토양에 살던 토박이 세균과 식물의 생존을 위협한다. 특히 식물의 경우 뿌리에 TNT가 쌓이면 성장과 발달을 저해한다고 알려졌다. ... ...
과학은 정말 객관적일까
2015.09.06
말이 있다.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권력이나 자본, 정치적 이익집단 등
특정
세력의 사주(?)를 받고 의도적으로 과학적 실험결과를 왜곡해서 발표한다는 이야기다. 이 말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과학적 연구결과조차 의혹의 눈초리로 바라본다. 폐암에 대한 논문에 ... ...
‘인공 세포핵’ 유전 질환 치료길 연다
2015.09.04
나타났다. 기존의 유전자 치료는 세포핵 속에
특정
유전자만 삽입하거나 mRNA를 넣어
특정
단백질을 만들게 하는 방식이었지만 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인공 세포핵을 이용하면 단백질 생산 효율이 2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엄 교수는 “발광 유전자 대신 정상 유전자나 치료에 ... ...
“인문-상경계열 학생들도 컴퓨팅 사고 익혀야”
동아일보
l
2015.09.03
원인이 무엇이며 어떻게 보완했는지 설명하는 쪽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특정
교과목의 점수가 전보다 낮아졌다면 ‘하고 싶은 비교과 활동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하는 식이다. 성적이 떨어졌어도 ‘해당 교과를 복습하는 시간을 한 시간씩 더 늘렸다’라고 보완을 위해 노력해 온 점을 ... ...
설악산 산양과 울진 산양, 유전자가 다르다
2015.09.02
연구진은 국내 야생에 사는 산양 57마리의 DNA를 수집하고 유전적 특성이 잘 드러나는
특정
염기서열 부위 12군데를 비교했다. 그 결과, 설악산 고성 양구 화천 등 강원 북부에 사는 산양과 삼척 울진 등 강원 남부와 경북 북부에 사는 산양이 별도의 집단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런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4억5000만 년 동안 지구를 지켜온 투구게
동아일보
l
2015.09.02
주사액이 그람음성세균에 감염됐는지를 검사할 때 사용된다. 투구게의 피에서 뽑은
특정
물질에 주사액을 떨어뜨리면 굳는 현상을 통해 그람음성세균에 감염됐는지를 15분 안에 알 수 있다. ○ 투구게가 위험하다! 사람들은 800년대부터 엄청난 양의 투구게를 잡아들였다. 1960년대에 화학 비료가 ... ...
맹점의 생리학
2015.09.01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먼저 참가자 10명 각각의 맹점 크기를 측정했다. 즉 한쪽 뜬 눈을
특정
지점을 응시하게 한 뒤 시야측정을 했다. 즉 시야에서 지름 0.35도인 흰 점이 깜빡거리게 하면서(모니터 배경은 회색) 그 지각여부(맹점 안에서 나타나면 모른다)에 따라 맹점의 위치와 크기를 정했다. ... ...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 지방
과학동아
l
2015.08.31
가깝지만, 발생단계에서는 백색지방으로 분류된다. 처음엔 백색지방으로 존재하다가
특정
상황이 되면 베이지색지방으로 변해 에너지를 태운다. ● 운동하면 베이지색지방 증가해, 일석이조 효과 어떤 상황이 지방의 색을 변하게 하는 걸까. 우선 갈색지방과 마찬가지로 주변 온도가 낮은 ... ...
이전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