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위트 있는 사람이다.녹색 형광에서 무지개색 형광까지로저 첸 교수는 어려서부터 화학
실험
을 즐겼다고 한다. 첸 교수는 GFP가 어떻게 형광을 내는지 그 원리를 밝혔으며 GFP가 형광을 내는 데는 산소가 필요함을 보였다. 또 GFP의 발색부위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을 다른 종류로 바꿔 훨씬 더 강한 형광을 ... ...
LHC, 왜 멈췄나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상태고 개인적으로도 매우 기대했던 만큼 실망이 크다”며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LHC
실험
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LHC를 가동한 지 불과 수 시간 만에 초전도자석 냉각 시스템에 이상이 생기는 바람에 30t 규모의 변압기를 교체하는 사고도 있었기 때문이다. 즉 엄밀히 말해 ... ...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사실로 만들기 위해 법칙이나 기술을 확립할 수 있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집중하고
실험
하고 계산한다.- ‘천재 과학자들의 유쾌한 발상’,야마다 히로타카 지음배경지식케쿨레는 엉뚱한 뱀 꿈을 통해 벤젠 구조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케쿨레는 단지 꿈에 뱀이 등장했다는 사실만으로 ... ...
식중독균, 꼼짝 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우리 손에는 대체 얼마나 많은 미생물들이 묻어 있을까요? 명예기자들이 직접
실험
해 봤어요.손에 얼마나 많은 미생물이 있는지 기계로 그 수를 세어 봤어. 손바닥에 있는 미생물을 채취해서 기계에 넣고 10초간 기다리면 되지. 미생물 수가 3,000마리를 넘으면 빨간색 경고 스티커를 붙여야 해.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관련된 수많은 연구가 쏟아졌다. 1997년 안톤 자일링거 교수는 세계 최초로 양자 원격전송
실험
에 성공하며 양자역학의 새 시대를 예고했다.또 지생 교수는 2002년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를 상용화시켜 학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그가 개발한 양자암호시스템은 현재 제네바 주정부가 선거 결과를 ... ...
[음향학]구멍 뚫어야 방음 잘된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변환기에서 금속판을 투과한 초음파를 측정했다. 초음파 파장은 4.5~8.8mm로 다양하게
실험
했다. 그 결과 구멍을 뚫지 않은 금속판의 경우 단위 면적당 금속판의 질량이 2배 증가하면 통과하는 음파 세기가 5dB만큼 줄어든다는 일반적인 ‘질량법칙’을 따랐다.반면 금속판에 구멍을 뚫으면 특정 ... ...
조선해양공학 인재 키우는 인큐베이터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2배인 100m로 끝이 아득했다. 이곳은 모형 배를 제작해 성능을 점검하는 ‘선형수조
실험
동’이다.“호흡을 맞춰 페달을 좀 더 세게 밟아 봐.”자전거 페달을 밟자 인력선 ‘신동호’가 움직였다. 서울대 모형선박제작모임(이하 ‘모모’) 회원 5~6명이 태양광으로 움직이는 ‘솔라보트’와 함께 배의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한다. 다음 표는 각 영양소의 호흡률을 나타낸 것이다. 호흡률에 관한 자료를 참고할 때
실험
에서 콩이 싹트는 데 주로 이용한 영양소는 무엇인가? 3) 지구상에는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도 살아가는 생물들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도 우리가 생물들이 ‘호흡한다’라고 부르는 이유와, 산소가 ... ...
우주에서 몸무게 0, 다이어트 고민 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우주여행의 꿈을 이룰 수 있는 기회가 많다고 생각한다.정리 안형준 기자 butnow@donga.com
실험
동영상은 우주로 홈페이지 (www.woojuro.or.kr)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우주에서 몸무게 0, 다이어트 고민 끝 ... ...
[심리학]보수적인 사람이 더 깜짝 놀란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전기전도도가 증가한다. 또 눈 아래 근육에 움직이는 센서를 붙이고 갑자기 큰 소리를 내
실험
참가자를 놀라게 한 뒤 눈을 깜빡이는 근육의 강도 변화를 측정했다.
실험
결과 보수 성향의 사람은 피 흘리는 사람의 사진을 봤을 때 피부의 전기전도도가 진보 성향의 사람보다 4배나 크게 변했다. ... ...
이전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