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의 마음 읽는 기계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뉴사이언티스트’에 따르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의 래나 엘 캘리우비
박사
가 대화 상대방이 지루한 표정을 지을 때 사용자에게 경고를 주는 기계를 개발했다.‘감정의 사회적 인지 보정기’로 이름 붙여진 이 기계는 안경에 카메라가 달려 있고 카메라로 찍은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 ...
스위치 하나로 초점 맞추는 안경렌즈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때문에 이중초점 안경을 끼는 사람들에게 반가운 소식이다.미국 애리조나대 궈창 리
박사
팀이 안경에 내장된 스위치로 렌즈 전체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액정렌즈를 개발했다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4월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이 제품은 근거리용 렌즈와 원거리용 렌즈가 모두 ... ...
특집2.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상처를 입었을 때 치유 속도가 더딘 것도 이 때문이다.미국 미시건대 의대 피부과 보히스
박사
는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콜라겐의 분해 산물이 피부 속에서 다시 콜라겐 분해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콜라겐이 한번 분해되기 시작하면 이때 생성되는 콜라겐 ... ...
내 몸에 딱 맞는 입체음향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주스를 로봇에게 부탁할 수도 있지 않을까.어릴 적부터 로봇을 만드는 것이 꿈이었던
박사
과정 황성목 연구원은 “미래의 로봇은 우리의 친구가 돼 줄 거예요”라며 “어느 곳에서 누가 부르는지 인식하는 로봇과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며 웃는 날이 머지않다”고 말한다 ... ...
거미 공포증, 알약으로 해결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공포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알약이 등장했다.스위스의 취리히대 도미니크 드 퀘르벵
박사
팀은 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이 든 알약이 공포증 환자에게 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 ‘미국 국립학술원 회보’(PNAS) 3월 2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40명의 대인 공포증 환자와 20명의 거미 ... ...
고성에서 날아온 '백악기 공원' 초대장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박사
는 일본에서 처음 발견된 용각류 뼈를 소개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이융남
박사
는 작은 구학포의 용각류 발자국 보행열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골격과 발자국의 진화된 특징, 크기, 서식지로 판단할 때 작은 구학포의 용각류와 전남 해남 우항리에 발자국을 남긴 용각류는 같은 ... ...
새콤달콤한 건강 가꾸기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알츠하이머병을 막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프랑스 국립보건의료연구원 라울
박사
팀은 2004년 사과의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결과를 내놨고, 일본체대 나카지마 교수팀은 같은 해 사과의 폴리페놀이 내장 지방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사과는 키위와 ... ...
특집1. 우리 어린 날의 초상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지난 설 연휴 SBS에서 ‘전국 동안(童顔) 선발대회’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하더니 요즘 신문과 방송마다 ‘동안이 뜨고 있다’며 난리다. 한 기사에서는 이런 동안 열풍을 ‘얼짱과 몸짱의 시대가 가고 동안의 시대가 오고 있다’고 해석하기도 했다.그런데 동안이 ‘얼짱’이나 ‘꽃미남’으로 상 ... ...
거울아 거울아 누가 제일 어리니?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나 영국 브리스톨대의 유비쿼터스 전문가인 클리프 란델
박사
는 “자신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는 시스템을 사기 위해 거액을 투자하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되겠느냐”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비록 이 시스템의 성공에는 찬반양론이 분분하지만 영원히 젊음을 ... ...
나노 화폭에 펼친 명장의 솜씨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넓혀간 거죠.”1987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 기계공학과로 유학을 떠난 그는
박사
과정에서 광섬유를 전공했다. 열 전달을 이용해 광섬유를 값싸고 균일하게 제작하는 공정에 연구 초점을 맞췄다.이때 100~300나노미터 수준의 에어노즐 입자를 이용하는 광섬유 제조 공정 연구를 수행하다가 ... ...
이전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