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뿔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7만6천헥타르(ha)에 달하는 우중쿨론은 인도네시아 제1의 자연보호구로서 자바의 서쪽
끝
에 위치하고 있다.자바코뿔소의 몸 높이는 1.5m이고 뿔도 작아서 볼품이 없다. 수컷의 뿔은 25㎝ 정도이고 암컷은 이보다 짧다. 어떤 것은 뿔이 아예 없다. 현존하는 코뿔소중 개체수가 가장 적으며 동물원에서 ... ...
50년대 쿠바 열대우림을 탐험하고나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끝
에 맨발로 서있는 사람이 필자이고 그 다음이 하버드대학 식물학과 슐티스교수. 왼쪽
끝
에 선 주방장은 밥통을 앞에 놓고 즐거웠던 지난날을 회상하고 있다.탐험대가 돌아다닌 지역은 당시 카스트로가 게릴라로 활동하던 오리엔테지방의 열대우림이었다. 처음에는 두려웠으나 탐험을 진행하는 ... ...
2 윈도우즈 열풍은 계속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커온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즈라는 차세대 운영체제(OS)를 발표하면서 거인 IBM에 창
끝
을 겨누었다. 이를 응징하기 위해 거인 IBM은 숙적 애플과 손잡고 '핑크'라는 새로운 운영체제를 개발하기 시작했는데…. '윈도우즈 NT와 핑크의 대결'로 요약되는 차세대 OS 싸움의 승자는?이제까지는 주로 ... ...
2. 동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해서 생물의 구조상 특성이 결코 갑작스럽게 바뀌지는 않을 것이고 발생과정의
끝
에 이르렀을 때 새로운 기능과 구조가 첨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전에 존재해온 생물권의 환경에 적응해온 오늘날의 생물들은 어느정도 환경의 역사를 반증하고 있다. 예컨대 오늘날 땅위에 서식하는 ... ...
풍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며 두꺼운 경질(硬質)이다. 7-8월에 백색 이판화(二瓣花)가 액생(腋生)한 긴 화병(花柄)
끝
에 3-5개의 꽃이 피는데, 뒤에 황색으로 변한다. 산 속의 나무 줄기나 바위 위에 착생하는데, 자생지였던 제주도·전남의 거문도·흑산도·홍도·경남의 남해도 등에 분포했으나 지금은 자생상태가 거의 사라진 ... ...
디스크를 잘 관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렇게 되면 초기화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잘 되지도 않는다. 억지로 초기화가
끝
나서 자료가 저장되더라도 에러가 많이 발생한다.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를 사용하기 전에 디스크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포맷을 해야 한다. 포맷을 한다는 것은 디스크의 면을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트랙과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으나 이또한 식품독성과 환경파괴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오랜 연구
끝
에 애벌레를 죽이는 박테리를 찾았고, 이 박테리아가 만드는 독소단백질이 애벌레의 내장에 들어가 신경을 마비시켜 죽게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후 학자들은 그 독소단백질의 유전자를 여러 과정을 거쳐 ... ...
새 생명의 요람, 겨울눈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형성되지 않아서 환경조건이 허락하는 한 성장을 계속하다가 갑자기 날이 추워지면
끝
이 말라 죽게 되는 것도 있다. 겨울눈에는 정아 말고도 잎겨드랑이에 난 측아란 것도 있는데 정아보다 작다.겨울눈을 추위로부터 보호하는 아린은 잎이나 착엽이 변한 것으로서 겨우내 자기의 임무를 완수한 후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누군가가 우주 만물의 진리를 설명하는 방정식을 쓴다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0=0우주의
끝
우주의 팽창 현상은 우리은하 주변에 있는 은하의 움직임을 통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M81이라는 아주 거대한 나선 은하(spiral galaxy)는 약 1백㎞/초로 지구로부터 멀어져 가고 있는데 이의 지구로부터 떨어진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한다. 옛 사람들이 이 강을 황천과 지상을 연결하는 죽음의 강으로 본 것은 이 별자리의
끝
부분이 지평선 아래에 접해 있기 때문이다.굽이치는 에리다누스자리를 가로질러 우리는 다시 화려한 겨울 별들의 세계로 들어선다. 별의 이름을 익히는 이유는 나름대로 다양하리라. 별을 통해 인류의 상상의 ... ...
이전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