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태양이 적색왜성이 됐다면 이야기가 다르다. 이 별은 에너지가 부족하다. 아무리 거주
가능
지역에 위치한다고 해도 태양에너지가 적을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식물은 빛을 최대한 받아들여야 한다. 반사되는 빛이 없으므로 검은 빛을 띤다. 적색왜성 초기라면 자외선이 강렬하다. 지구가 이런 별을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속도가 늦어지면서 양력이 증가했다. 가슴지느러미 뼛살이 아래에 달려 있기 때문에
가능
한 현상이다.연구팀은 날치 가슴지느러미 뼈대를 조그만 원형실린더 형태로 만든 뒤 단순한 평판에 달아 실험했다. 그 결과 날치처럼 아랫면에 부착했을 때 양력이 증가했으며 특히 평판 뒷단 아래에 붙였을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비만율도 11.2%에서 14.3%로 증가한 것. 어린이 비만과 청소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질
가능
성이 높으므로 우리도 미국처럼 적극적인 규제를 검토할 시점에 온 것이다.영양과잉 부작용 지방보다 당이 심각사실 당류의 과다섭취는 글로벌한 현상이다. 지난 50년 동안 지구촌 사람들의 당류 ...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누가 맞았는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아무래도 기억이 지워진 게 내 편리를 위한 것일
가능
성이 크겠지만, 어차피 뭐에 홀린 상태였으니.아웃백에서 뱀 박사를 만나다옥신각신 하는 중에 주차장에 도달했지만 모두 이미 떠나고 우리만 남겨졌다. 이미 만날 시간을 훌쩍 넘긴 버스가 우리를 버린 ... ...
몸속 구석구석 3D로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이미 평균에서 법대를 넘어섰다고 봐요. 더구나 공대를 나와서는 정말 크게 성공할
가능
성도 많잖아요. 10년 뒤를 보고 전공을 선택해 보세요.”신 교수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들과 참 격의없이 잘 지낸다. 어떤 학생을 연구실에 받고 싶냐고 물었더니 “당연히 똑똑하고 성실한 학생”이라며 ... ...
범인 잡는 미세증거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그러나 미세증거물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범인들이 간과할
가능
성이 큰 것이다.국과수 연구원이 말하다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의 문상옥 연구원과 김명덕 연구원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미세증거물을 이용 해결한 사건 중에 기억에 남는 사건은 ...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지속하고 있다. 한번 생겨난 에디의 형태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하는 것도
가능
하다. 그러나 언제 어디서 발생되는지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다. 에디를 연구하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해양 환경을 예보하기 위해서다. 이재학 박사는 “태풍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연구만큼 에디에 대한 연구도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동해의 형성 과정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15km 깊이는 아직 현실적으로 불
가능
하다. 그래서 동해의 형성 과정에 대한 가설과 이론은 아직까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동해에 해양지각이 먼저 형성됐다는 증거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그림에서 설명한 여러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사용하면 조만간 우리은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의 대략적인 모양을 직접 관측하는 것이
가능
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우리은하 중심부를 향해 기체구름이 현재 떨어지고 있으며, 2013년에는 그렇게 떨어진 기체구름이 가열되면서 은하중심부에서 강한 빛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거대질량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상호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검출할 수 없지만 전자와 양전자는 검출이
가능
하다. 또 자기장을 걸어 전자와 양전자가 휘는 궤적을 측정하면 암흑광자의 질량을 알아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구소는 우리 돈으로 35억 원(300만 달러)에 이르는 검출기를 준비했다.문제는 키네틱 믹싱의 확률이다. ... ...
이전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