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빙켈만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17세기 여성 천문
학자
중 가장 뛰어난 인물로 평가받는 빙켈만. 여성을 교육시키는 사회 제도가 전무하던 시절이었기에, 뛰어난 재능을 갖춘 여성 ... 천문
학자
로서의 경력은 끝이었다. 부당한 성차별로 인해 과학의 역사에서 뛰어난 여성 과
학자
가 어떻게 사라져 갔는지 보여주는 사례다 ... ...
밤하늘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변광 주기와 광도 관계를 이용하면 알아낼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미국의 여류 천문
학자
인 리비트가 1912년 마젤란은하 내의 세페이드 변광성의 변광주기를 조사해 밝혀냈다. 결국 어느 먼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려고 한다면, 그 은하 안에 있는 세페이드형 변광성을 찾아내 주기를 구하고, 겉보기 ... ...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만드는 기자들과 E메일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과학동아는 그동안
학자
, 연구원, 교사와 학생들 사이에서 참고자료로 유용하게 쓰여 왔다. 그러나 과거 기사를 찾아보려면 도서관에서 과월호를 하나하나 뒤져보는 불편이 있었고, 4대 PC통신을 통해 1991년 1월호부터 목차검색 서비스 ... ...
3. 생명현상 조절하는 생체전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관찰했다. 이러한 음극의 영향은 전위차가 7 mV/mm 만큼 작은 경우에도 나타났다.또 두 과
학자
는 아세틸콜린 수용체 같은 막 단백질이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엄청나게 이동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현상의 발견은 아주 중요한 점을 시사한다. 성장하고 있는 축색의 말단에 위치하는 어떤 단백질에 ... ...
과
학자
로 다시 돌아온 우주영웅 글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몇년만에 다시 입어보는 우주복인가. 10월 29일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에 탑승할 예정인 글렌은 새롭게 지급된 우주복을 만져보면서 출산 ... 우주여행을 우주조종사와 상원의원이라는 색안경을 끼고 보고 있지만, 글렌 자신은 “과
학자
로서 마지막 우주여행에 도전한다”고 말하고 있다 ... ...
3. 빛보다 빨리 달리는 우주선 초광속비행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같은 효과를 얻는다는 새로운 개념은 불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영국 웨일스의 물리
학자
앨큐비에르는 시공간을 임의로 변형시킴으로써 초광속 운동이 가능하다는 점을 원리적으로 증명하는데 성공했다. 방법은 간단하다. 시공간을 우주선의 뒤쪽으로 엄청나게 팽창시키면 우주선이 몇분 전에 ... ...
18일 새벽 사자자리 별똥 축제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관측 준비를 완료하고 기다리는 것이 좋다. 과연 얼마나 많은 유성이 떨어질지는 천문
학자
들 사이에도 의견이 분분하지만 대략 시간당 1천개 이상의 유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예측의 근거로는 지구의 공전궤도와 부스러기 궤도 중심과의 거리가 지난 1966년(시간당 15만개)이나 183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것이 바로 지금의 은 - 아연전지의 원조다. 그 후 볼타전지는 다니엘과 같은 많은 과
학자
들에 의해 수정과 개선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종류의 전지로 탄생한다. 이제 여러 전지들의 탄생 배경과 쓰임을 알아보자. 1차전지의 원조 망간건전지보통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전지의 수를 살펴보면 20-3 ... ...
질량의 기원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순간 질량을 갖고 있지 않은 입자가 나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64년 스코틀랜드의 물리
학자
힉스는 질량을 부여해주는 미지의 입자가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그 입자는 그의 이름을 따 ‘힉스’라고 이름 붙여졌다. 힉스는 현대 물리학의 기본 모델을 완성하기 위해 반드시 찾아야하는 궁극적인 ... ...
2. 과학분야 노벨상 궁금증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전분야를 통틀어 아직 한명도 없다. 생리의학분야의 김성호, 이서구 박사 등 많은 한국인
학자
들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언제 노벨상의 영광을 얻게 될지 알 수 없다.그런데 출생지로만 따지면 한국도 한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이미 배출했다. 분자화학 분야에의 공헌으로 1987년 화학상을 받은 ... ...
이전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