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전 EXPO에 등장한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예를 들면 지구를 볼록 튀어 나온 벽면에 영사하면 훨씬 지구 모습이 돋보인다 물론
초
점은 지구의 어느 지역에서나 다 잘 잡힌다. 싱크 박사의 얼굴은 사람 형상을 한 조각에 영사하고 흐르는 구름 영상은 펄럭이는 천에 영사하면 효과는 100%.대전엑스포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 ...
물리- 전하량은 항상 보존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갖는 전하량은 1을 6.25X${10}^{18}$으로 나눈 1.6X${10}^{-19}$쿨롱이며, 1암페어(A)의 전류는 1
초
에 6.25X${10}^{18}$개의 전자가 지나가는 것이다.1909년 작은 기름방울이 띠고 있는 전하량을 측정한 '밀리칸'은 기름방울이 갖는 다양한 양의 전하량들이 항상 어떤 수의 정수배만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전 ...
화학 - 자연의 복잡한 물질분리, 필요한 화합물 재구성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을 원료로 하는 화약이 발명된 후 유럽 여러 나라는 원료의 주산지인 칠레로부터
초
석을 수입해 화약을 제조했다. 그러나 1차 세계대전이 시작되기 6년 전 독일의 화학자 하버는 수소와 질소 혼합가스를 높은 온도와 압력하에서 적당한 촉매에 접촉시키면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것을 발견하고 방대한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여러 이론들은 어디까지나
초
기의 우주에 대해서 불명확한 관계 때문에 도입된 것이며
초
기 이후의 우주는 어디까지나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한 프리드만-로버트슨-워커의 팽창우주론이 자명하게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6.9등급과 8.0등급의 별 두개로 이루어진 다중성 HN40이 있기 때문이다. 이 다중성은 10.6
초
의 분리각과 2백12도의 위치각을 갖고 있어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분리해 볼 수 있다. 같은 시야내에서 북동쪽으로 0.7도 부근에 산개성단 M21이 함께 보인다. ■ M8(라군성운)삼렬성운보다도 2배 이상 크고 ... ...
벽에 부딪친
초
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다닙니다. 그런 사람이 처음부터 외국의 권위지부터 찾을 수 있겠습니까."처음 최교수가
초
전도 연구를 시작한 것은 학생들에게 물리화학특론을 강의 하면서부터. 동양과학의 특성을 강조 하면서 자연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전자 속에 들어가보자는 말이 씨가 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 ...
너무 많이 아는 것?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필자의 지식은 그 기술에서 사용하는 박막 필름의 두께만큼 밖게 되지 않는다. 그러나
초
박필름 위에 있는 자기 조립자들의 화학적 복합물은 아주 작고도 효율적인 스위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술은 미래의 컴퓨터를 만드는데 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세번째 방법으로는 지금의 전자공학을 ... ...
화석속의 DNA추출, 1억년전 공룡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이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라고 말했다.바구미는 쥐라기 다음의 백악기에 살았던
초
식곤충. 그러므로 바구미가 공룡의 피를 빨았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 그러나 미국자연사 박물관의 과학자들에게 입수된 같은 시기의 호박 속 곤충 중에는 공룡의 유전자를 가진 것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 ...
심해저탐사 첨단장비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태평양에서 공동으로 망간단괴와 망간각 탐사를 실시해 왔으며, 1992년도부터는 한국 최
초
의 종합해양조사선 '온누리'호를 이용해 독자적으로 심해저 탐사와 연구를 계속해 오고 있다. 온누리호에 장착돼 있는 탐사장비를 중심으로 심해저 연구를 위한 탐사기구를 소개한다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도망가는 방향으로 공전하고, 새벽녘에는 성간물질들을 향해 공전하기 때문이다. 즉
초
저녁에 떨어지는 유성은 성간물질들중 지구 접근 속도가 지구의 공전 속도보다 큰 것들인 반면, 새벽녘에 떨어지는 유성은 지구에 접근하는 모든 성간물질인 셈. 즉 유성의 속도가 지구공전 속도보다 느리더라도 ... ...
이전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