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
과학동아
l
201211
데 중요하다”고 말했다.이처럼 중요한 역할 때문에 구아닌 수용체 연구는 그동안 많은
과학
자의 관심을 받았다. 1994년 마틴 로드벨 박사와 알프레드 길먼 박사가 받은 노벨 생리·의학상 주제도 GPCR과 결합하는 구아닌 단백질(G-단백질이라고도 한다)이었으며, 200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린다 ... ...
‘불산’ 무섭지만 버릴 수 없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11
[달라붙지 않는 프라이팬의 코팅재료로 유명한 플라스틱 테플론의 구조(일부). 탄소골격(회색공)에 불소(연두색 공)가 결합된 고분자다.]9월 27일 경북 구미시 산동면에서 발생한 불산가스 누출사고 후유증이 심각하다. 사람이 죽고 반경 700m 이내 숲과 들이 초토화됐다. 불산가스가 뭐기에 이런 엄청 ... ...
화려한 나비 날개가 품은 독
과학동아
l
201211
불리는 ‘고둥(Conus marmoreus)’의 독소와 같다는 연구결과를 10월 15일자 미국국립
과학
원회보(PNAS)에 발표했다.그라우시페 끝주홍나비는 날개 양 끝이 화려한 주황색이다. 날개 부분에 독이 있어 이 나비를 잡아먹는 새와 개미, 난초사마귀 등은 날개는 먹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11
보여준 예라 할 수 있다(노벨 물리학상을 자세히 알고 싶으면 기획 ‘2012년 노벨
과학
상’을 꼭 보세요).양자 전송 기술은 양자상태를 멀리 보내는 데만 쓰지 않는다. 현재 물리학계의 최고 관심사인 양자컴퓨터가 출현하기 위해서는 양자 프로세서 사이에 빠른 통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통신 ... ...
목소리 없는 대화
과학동아
l
201211
루게릭병처럼 시간이 갈수록 점점 신경이 마비되는 퇴행성 신경질환 환자에게 가장 마지막까지 온전히 남아 있는 운동기관은 일반적으로 ‘눈’이다. 앞 ...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해 호킹 박사가 앞으로도 인류
과학
발전에 더 큰 기여를 하길 기대한다 ... ...
“절대 공부하는 척만 하지 않아야”
과학동아
l
201211
자신감을 모두 잃었다.“수학 싫은데 왜 해야 하나 생각했어요. 그런데 제가 좋아하는
과학
을 하려면 수학을 안 할 수 없으니까요. 그래서 빨리 공부하려고 문제 풀고 이해 안 되면 바로 해답보고 선생님께 물었어요. 그랬더니 오히려 스트레스를 더 받았죠. 차라리 꼭 필요한 내용으로 공부 범위를 ... ...
시네마 키드
과학동아
l
201211
것처럼 보이죠. 과동이: 그건 저도 어렸을 때 만들어 봤어요. 쌤: 과동이, 이번 호 ‘Do!
과학
동아’의 아래쪽을 보세요. 그림이 그려져 있죠? 바로 ‘플립북 애니메이션’을 위한 그림이에요. 책을 앞에서부터 빠르게 넘기면서 그림을 보면 공이 통통 튀는 것처럼 보인답니다. 가장 기본인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11
다시 만들어낸다는 것은 꿈도 꿀 수 없다. 복제나 유전자 변형 등 최근 유전학의 발전은
과학
이 온전한 생명체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생각을 사람들에게 심어준 것 같다. 그러나 수십 만 개의 유전자가 서로 맞춰져 상호작용하는 생명체를 만들어 내는 일은 완전히 다른 일이다.”각 종들이 지니고 ... ...
Part 2. 유기농
과학동아
l
201211
눈에 띄었다. 크리스탈 스미스-스팽글러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연구원팀이 9월 4일 ‘내
과학
회보’에 낸 리뷰 논문이다. 결론을 요약하면 “유기농으로 지은 농축산물의 영양 성분이 기존 농법(흔히 ‘관행농’이라고 부르지만 이 용어에 반감을 느끼는 현장 농업인들이 많다. 이 글에서는 ...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과학동아
l
201211
포니테일의 움직임을 분석한 영국 케임브리지대 이론물리학과 연구팀이 가져갔다.
과학
동아 9월호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에서 소개한 ‘커피를 들고 이동하는 도중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유체역학상을 수상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상, 미시 세계를 ... ...
이전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