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소니
f 88
smu
삼성
소니 mp3
소니mp3
뉴스
"
바이오
"(으)로 총 5,11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오존, 자동차 매연 측정 척척
2015.02.24
쉽게 이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 교수는 “휴대용 공기오염 센서 뿐 아니라 실험실용
바이오
센서 등의 다양한 융합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1월 3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2020년 달 표면 누빌 한국형 로버 첫 공개
2015.02.17
자연스럽게 통과했다. 16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3 연구동. 강성철
바이오
닉스연구단 책임연구원은 “2020년 한국형 달 탐사용 로버(Rover)를 고려해서 개발한 첫 시제품”이라면서 “달 표면과 비슷하게 연출해 로버의 성능을 테스트 중”이라고 말했다. 로버는 행성 표면을 ... ...
[HOT100]“생명과학이 미래” 쥐 사육장에서 30종의 쥐를 길러…
동아일보
l
2015.02.16
등 세 나라에만 있는데 은행 열매로 술을 만든 것은 우리나라가 처음이다. 현재 세계
바이오
시장에서 가장 각광받는 프로젝트는 술이다. 의약품은 그 다음이다. 멕시코가 용설란으로 데킬라를 만들었듯이 이번에 개발한 은행 증류주가 언젠가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명주가 됐으면 ... ...
초미세 뇌파도 정확히 측정하는 신소재 나왔다
2015.02.11
단겹탄소나노튜브는 서로 달라붙는 성질이 있어 넓게 만들기 어려웠다. 이에 연구진은
바이오
물질(P8GB#1)이 단겹탄소나노튜브와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그물 구조로 넓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든 전극을 생쥐의 뇌에 그냥 붙이기만 했는데도 기존 소자보다 4배나 더 잘 ... ...
[Health&Beauty]“3D 프린터로 맞춤형 장기 찍어 낼 날 올것”
동아일보
l
2015.02.11
소개했습니다. 인체 조직이나 장기를 화학물질로 처리해 세포만 제거한 물질을 이용한
바이오
잉크를 3D 프린터와 접목해 심근조직과 연골 등을 만들어 내는 기술이 순수 국내 기술로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3D 프린터 기술이 줄기세포와 결합해 더욱 발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 ...
국내 과학자, 세계 3대 저널 자매지 초대 편집위원 선임
2015.02.09
대사공학’ 분야 선구자로 꼽히고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 이 교수는 현재 ‘
바이오
테크놀로지 저널(Biotechnology Journal)’ 등 해외 유력 학술지의 편집장을 역임하는 등 국제 학술지 20여 개의 편집에 관여하고 있다. 이 교수는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카운셀링 멤버 및 ... ...
치아뿌리 만드는 핵심 유전자 찾았다
2015.02.05
발견이 당장 치주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을 주고, 치아 발생에 대한 이해가 쌓이고
바이오
치아의 체내 안정성이 확보된다면 인공 치아 실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치과연구학회가 발행하는 ‘치과연구지’ 온라인판 지난달 7일자에 실렸다. ... ...
미래부 “2017년까지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2015.01.28
기후, 나노, 재난 분야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에 대해 이 차관은 “현재 국내
바이오
분야의 신약개발 연구가 앞서있다고 생각한다”며 “2017년까지 제대로 된 줄기세포 치료제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 ...
피부세포로 파킨슨병 고치는 도파민 뉴런 뚝딱
2015.01.20
400nm의 패턴에서 피부세포를 분화시켰을 때 가장 많은 양의 도파민 줄기세포를 얻을 수 있었다. - 동국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도파민을 만드는 신경세포로 ...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생물학 및 재료분야 학술지 ‘
바이오
머티리얼스’ 15일자에 실렸다. ... ...
손톱만한 실험실을 만드는 그녀
동아사이언스
l
2015.01.16
진단과 관련된 진단기기 개발에 관심을 갖고 몰두하고 있어요. 의료진단 분야에서 나노
바이오
융합 연구를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조하고 싶어요.”라고 말했다. 학생과 연구에 열정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는 그녀. 그녀가 가진 포부처럼 조윤경 교수 이름 앞에 더 많은 수식어가 탄생하길 응원해 ... ...
이전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