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3. 빛보다 빨리 달리는 우주선 초광속비행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임의로 변형시킴으로써 초광속 운동이 가능하다는 점을 원리적으로 증명하는데
성공
했다. 방법은 간단하다. 시공간을 우주선의 뒤쪽으로 엄청나게 팽창시키면 우주선이 몇분 전에 출발한 우주 기지는 수광년이나 멀어져 갈 것이다. 다음에는 반대로 우주선 앞쪽의 시공간을 수축시키면 수광년이나 ... ...
4. 자연법칙에 반하는 공중부양, 반중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흥행에
성공
한 영화 ET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주인공 어린이와 ET가 자전거를 타고 보름달을 배경으로 하늘을 나는 순간일 것이다. 그러나 과학에 대한 상식이 조금만 있는 사람은 자전거를 타고 하늘을 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중력 때문이다.하늘을 날기 위해서는 열기구나 비행기, ... ...
입자물리의 영원한 라이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페르미연구소는 1972년 2천억eV에 달하는 양성자가속기를 세웠지만 다루기가 힘들어 실험
성공
률이 50% 밖에 되지 않았다. 1976년에야 양성자가속기는 5천억eV에 도달했다. 이듬해 페르미연구소는 다섯번째 쿼크인 바틈쿼크를 발견함으로써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지상 최대의 양성자 가속기인 ... ...
핵융합 장치 실현하는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부착된 전자파 발생장치를 달면 어떻겠냐는 아이디어가 나온 것이다. 결과는
성공
이었다. 불과 5만원 상당의 중고 전자레인지 덕에 현재 KAIST 토카막은 별다른 차질 없이 성능을 개선시키고 있다. 작년 말까지 실험실의 목표는 질좋은(높은 온도와 오랜 지속시간을 갖는) 플라스마를 얻는데 집중돼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18호가 케네디우주센터를 떠났다. 이들은 7월 17일 2백25km 상공에서 역사적인 첫 도킹에
성공
했다. 도킹이 일어난지 3시간 후 아폴로 18호의 토마스 스태퍼드선장이 먼저 소유즈를 방문했다. 상호 방문은 4차례에 걸쳐 이뤄졌다. 44시간 뒤 두 우주선은 분리돼 공동우주계획의 하이라이트인 ... ...
생활속의 반도체 마이컴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250억7천만달러(한화로 약 32조6천억원)로 30년도 되지 않아 1천만배나 성장했다. 이러한
성공
의 배경에는 반도체 역사를 홀로 써온 인텔의 기술력이 있다.인텔은 1971년 4004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개발했다. 여기에는 2천3백개의 트랜지스터가 들어있었다. 그리고 1974년에 8비트 8088 마이크로프로세서, 197 ... ...
Ⅲ 생활속으로 파고드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토끼를 잡았다. 자세히 살펴보면 스키어의 신발도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다.NASA에서
성공
적으로 활용되다가 민간으로 넘어온 기술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최근 항공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는 행글라이더의 경우 NASA가 1960년대에 검토했다가 폐기했던 기술이었다.당시 항공기술을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손까지 전기가 통한다면 바닥에 놓인 금속들이 튀어올라 소년 손에 붙을 것이다. 결과는
성공
이었다.놀레 신부는 자신이 직접 전기를 느껴보고 싶었다. 그래서 동료 과학자를 수평으로 매단 후 같은 실험을 반복했다. 이때 놀레 신부는 자신의 손을 동료 얼굴에서 2-3cm 되는 곳에 가져다 댔다. 그러자 ... ...
북한 로켓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뉴스가 이어졌다. 이로 보아서는 기존의 노동미사일(1단, 사거리 1천km, 93년 5월 시험 발사
성공
)과는 성격이 다른, 최소한 다단계 로켓 발사임이 분명해졌다.그로부터 닷새 뒤 북한은 “100% 우리 기술과 힘으로 인공위성을 발사했으며, 이 인공위성은 정상적으로 궤도에 진입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 ...
혈액형 발견한 외과의학의 구세주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1백50년 동안은 어느 누구도 수혈을 할 수 없었다.오랜 공백 뒤에 다시 수혈을 시도해
성공
을 거둔 것은 영국 런던의 거이 병원에서 내과의사와 산부인과 의사로 활동하던 제임스 브란델이었다. 브란델 역시 데니스처럼 우선 여러 차례의 동물실험을 거듭해 한 가지 중요한 원칙을 확립했다. 즉 종이 ... ...
이전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