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 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kari.re ... ...
- [영국유학일기] 전 과목 1등, 영어만 20점 잘 쓴 에세이 필사하기과학동아 l2019년 09호
- English for STEM writing), 과학 전달법(Communicating Science) 등의 코스도 제공한다. 그 중에는 1 대 1 수업도 있다. 나는 모든 코스를 들어봤는데, 내게 가장 도움이 된 수업은 회화(Speaking course)였다. 일상 회화 중에서 흔히 생략하는 문법이나, 흘려버리는 발음과 그에 대한 ...
- 매스메이커, 수학으로 뚝딱!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음…, 만들기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수학으로 뚝딱! 매스메이커Part1. 메이커란 무엇?Part2. 일상 속 매스메이커의 작품Part3. 알고 보면 에술도 메이커도 매스메이커!Part4. 매스메이커, 누구나 될 수 있다!Part5. 빌 게이츠를 긴장시킬 작업장 '메이커 스페이스' 참고 자료 Plan for the Plan ...
- [따끈따끈한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 난제, 민감도 추측 2쪽짜리 증명으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9호
- 2019년 7월 초 갑자기 이 분야 연구자들의 트위터와 블로그가 떠들썩했습니다. 7월 1일 인터넷 논문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에 민감도 추측을 증명한 것으로 보이는 논문이 올라왔기 때문입니다. 그 논문을 써서 공개한 사람은 중국 수학자 황 하오 미국 에모리대학교 교수였습니다. 증명은 ... ...
- [시사과학] 신맛 사탕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주의 문구를 꼭 쓰도록 했어요. 또, 사탕에 들어가는 총 산 함량 기준을 적용하는 2020년 1월 부터는 매년 규격 검사를 시행해 감시할 예정이랍니다. 신맛 사탕, 먹으면 안되나요? 신맛 사탕은 한꺼번에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아요. 물론 신맛을 내려고 넣는 유기산 물질들은 먹어도 되는 안전한 ... ...
- [에디터노트] 한일 경제전쟁과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발표하는 ‘기술수준평가’라는 보고서가 있다. 가장 최근 보고서는 올해 4월 공개된 ‘2018년 기술수준평가’다. 문재인 정부의 120개 중점과학기술에 대해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네 나라와 한국의 기술격차를 분석했다. 한 나라와 다른 나라의 기술격차는 어떻게 조사할까. 기술격차 ... ...
- [화보] 버려진 땅, 사막 극한을 가로지르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우승을 해도 상금조차 없는 대회지만, 매해 수백 팀이 목숨을 걸고 달린다. 올해 1월, 제41회 다카르 랠리는 개최지를 옮겨 남아메리카 페루에서 열렸다. 극한의 대자연인 사막을 뛰어넘었다는 환희를 맛보기 위해 달린 그들의 모습을 소개한다. ▲ PDF 파일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개와 고양이의 눈빛에 '심쿵' · · ·비밀은 눈 근육에 있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오른손잡이가 대부분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동물 행동(Animal behaviour)’ 2018년 1월호에 발표했다. doi: 10.1016/j.anbehav.2017.11.002 연구팀은 암컷 24마리, 수컷 20마리 등 총 44마리를 조사해 이들이 캣타워에 올라 ...
- ‘몸짱’ 되려다 근육통 얻는다 보충제와 근이완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kg이라면 하루에 800mg을 복용할 수 있는데(20mg/kg/day), 보통 한 정에 200~250 mg이므로 한 정씩 1일 3~4회 복용할 수 있습니다. 직접 계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약사에게 상담 후 구입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이소정 고려대에서 약학을 전공하고, 서울대 약학대학원 물리약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매개체로 하는 연쇄반응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doi: 10.1103/PhysRev.55.434 밤하늘의 별들도 1억 도가 넘는 열기 속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불사조’인 탄소가 있어야만 빛을 낼 수 있다는 뜻이다. 베테는 이 이론을 밝혀낸 공로로 1967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불, 석탄, 석유까지…문 ...
이전4804814824834844854864874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