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학과 과학은 서로 다르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대해선 전문가에게 물어봐야겠는데요. 준비성 철저한 무릎팍 도사가 그래서 모셨습니다. 한국교원대 수학교육과 신현용 교수님! 수학과 과학은 서로 다른 학문입니다. 과학에선 이론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실험관찰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지요. 관측을 통해 새로운 행성 하나를 발견하거나 실험에 ... ...
- Part 1. 수학의 달은 왜 없는 건가요?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봐야죠? 해결에 앞서 건방진 도사, 건방진 프로필을 이야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팍! 팍! 한국 이름은 수학, 미국 및 영어권 나라에서는 매스매틱스(mathematics), 일본 이름은 쓰우가쿠(すうがく) 이름도 나라별로 여러 개. 글로벌한 수학~! 생년월일은 나이가 너무 많아 언제인지 기억이 ... ...
- Part 6. 고민해결! 수학대회를 열어라!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지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서양의 수학사와 관련된 달도 좋지만 한국 수학의 달인 만큼 우리 역사와 관련 있는 달을 지정하는 것도 의미가 있겠어요.”대변인 말씀대로 우리나라 수학과 관련된 달이 좋을 것 같네요. 어쨌든 3월이건 6월이건 아니면 우리나라 수학과 관련된 ... ...
- Part 1. 지도, 어떻게 그리는 걸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일본을 지나 손가락으로 태평양을 건너 미국의 북쪽 연안까지 닿았다. 빙글빙글~.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이번엔 서쪽 방향으로 가봤다. 중국, 인도를 지나 어느새 아프리카다. 지구본으로 세계를 둘러보니, 왠지 우주 공간에서 지구를 바라보는 것 같았지만 세상을 한눈에 보기에는 조금 부족하다. ... ...
- 수학교육 문제점, 생활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수학” 이라며 “하지만 생활수학 전문가가 드물어 초기에는 고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이하 창의재단)에서 수학교육을 연구하며 이번 발표에 관련된 김동원 박사는 “실생활을 이용한 수학교육 사례는 아직 드문 편”이라며“월간 수학동아가 소개한 다양한 실생활 속 수학 ... ...
- [뉴스 포커스] "내가 바로 우리 도시의 수학대표"수학동아 l2011년 04호
- 그 도시의 대표인원으로 삼아, 대표인원의 평균점수를 그 도시의 점수로 한다. 고봉균 한국대회 위원은 “이번 시즌에 우리나라 도시가 세계 상위권에 들 것” 이라고 기대했다. Q 용이 기사를 감금하고 서로 다른 100개의 동전을 주었다. 이 중 절반은 요술 동전인데, 어느 것이 요술 동전인지는 ... ...
- '거짓말 없는 세상' 에서 수 읽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일어나면 크게 걱정할 일이 아니지만 실제 상황이라면 그 피해는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나로호’도 두번의 실패를 겪었다. 2009년 8월 첫 발사 때는 2단 로켓분리 이후 페어링(유선형 위성 덮개)의 한쪽이 분리되지 않고 위성에 계속 붙어 있어 비행 속도에 오차가 생겨 위성이 ... ...
- 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충분하다. 이들은 생각보다 우리와 가깝고 비슷하며, 심지어 조상일 가능성도 있다. 한국인도 예외는 아니다.[네안데르탈인(Homo Neanderthalensis) 지금의 중부 및 남부 유럽부터 동쪽으로는 시베리아 남부 오클라드니코프 지역까지 살았던 인류의 친척.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가장 가까운 시기에 ...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과학동아 l2011년 03호
- 한국인의 게놈을 직접 비교하는 방법이다. 언젠가는 이 방법을 이용해 직접 한국인 안에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날도 올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음속 이상의 속도를 내 이륙하려면 지금보다 활주로가 3배 이상 길어져야 한다. 박상혁 한국항공대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는 “활주로를 달리다가 이륙하면 양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기 때문에 추력이 비행기 무게의 10% 정도면 충분하지만, 수직이륙하려면 추력이 비행기 무게보다 커야 하므로 ... ...
이전4804814824834844854864874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