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챔버가 있었는데, 설정온도가 각각 달랐다. “유충의 성장속도를 측정하는 곳입니다. 12시간에 한 번씩, 챔버별로 한 마리씩 꺼내서 끓는 물에 담가요. 구더기 크기라는 게 워낙 들쭉날쭉해서 살아있으면 제대로 측정하기 어렵거든요.” 성장속도 그래프를 만들려면 한 종을 최소 다섯 개 온도대(20℃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과연 그들이 인간을 공격할까? 이에 대해 로드니 브룩스는 TED강연에서 “대안을 마련할 시간이 아직은 충분하다”며 “누군가 ‘최고 악당 로봇’을 만들기 전에 ‘그리 나쁘지 않은 로봇’을 먼저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인간을 초월하는 초지능이 개발되기도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있다. 박쥐는 약 5000만 년 전에 처음 진화한, 가장 오래 된 포유류 중 하나다. 긴 시간 동안 분화가 많이 일어나서, 약 1000 종에 달한다. 이는 전체 포유류 종의 20%에 해당하는 수다. 따라서 이들이 품고 있는 바이러스의 다양성은 상당하다. 게다가 남극을 제외한 전 대륙에 널리 분포하고 있고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보행을 포기하고 다각도로 구부러지는 네 개의 바퀴를 달았다. 모든 임무를 빠른 시간 안에 완수했지만 마지막 미션인 계단오르기의 장벽에 막혀 7점에 그쳤다. 3위인 타르탄 레스큐의 로봇 ‘침프’는 두 팔을 달고 있지만 팔다리에 무한궤도(캐터필러)를 달아 탱크처럼 굴러서 이동한다. 넘어질 ... ...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밀랍 때문에 오히려 보존 상태가 나빠졌습니다. 밀랍은 주성분이 지방인데, 지방은 오랜 시간 공기와 접촉하면 산화됩니다. 이 때문에 희던 종이가 검거나 노랗게, 때론 붉게 변했습니다. 밀랍이 녹았다가 딱딱하게 굳으며 종이를 파손시키기도 했습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큰 사회적 파장이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김병수_kimbssss@hotmail.com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피부과 전문의이며 의학박사다. 진료시간 이외에는 행성 지구와 우주의 신비를 탐구하는데 매진하고 있다.김지현_voyages@hanmail.net과학동아 별학교장. 우주과학작가로 활동하며 ‘별헤는 밤 천문우주실험실’ ‘별 가족 태양계 탐험을 떠나다’ 등의 책을 ... ...
- 지구사랑탐사대 3기 활동 전 필수 수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있나요?매미가 막 탈피했을 때는 날개가 투명한 에메랄드 보석과 같은 빛깔이었는데, 2시간 지나자 연두빛을 내면서 원래 매미 색깔로 자리잡는 게 신기했어요. 우화한 매미는 새벽쯤에 매미 성충으로 활동을 시작한다는 사실도 알았죠.Q 지사탐 활동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언제였나요?경기도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더 정확하다.필자는 이런 추세라면 영화 속 ‘터미네이터’가 실생활에 등장하는 것도 시간 문제라고 본다. 하지만 그런 초지능이 나온 미래가 유토피아일지, 디스토피아일지는 지금부터 하기에 달렸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현재 군인들은 시뮬레이터 장비를 이용해 훈련한다. 지금은 교관 또는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섬광 ‘펨토초 레이저’가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열었거든요. 펨토초 레이저는 쏘는 시간이 워낙 짧기 때문에 아무리 강한 빛을 쏴도 그 지점 외에는 따로 손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살아있는 세포에 200nm 크기의 작은 구멍을 뚫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이렇게 되면 세포를 죽이지 않고 수술을 할 ...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6개월, 길게는 3년까지다. 화장품이 만들어지는 공정 시간까지 합치면 더 길 것이다. 이 시간 동안 성장인자가 자신의 특성을 간직한 채 우리의 피부에 닿을 수 있을까.결론부터 말하자면 ‘절대 그럴 리가 없다’. EGF나 FGF와 같은 성장인자는 구조가 불안정한 단백질에속한다. 연구실에서도 EGF는 ... ...
이전4804814824834844854864874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