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지개 소녀의 아주 특별한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색깔이 변하는 걸 알 수 있어.손전등으로 무지개 만들기과학원리 뛰어넘기빛은 통과하는
물질
인 매질에 따라 진행속도가 달라져서 꺾이게 되는데 빛의 색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진다. 보라색빛은 빨간색 빛에 비해진행속도가 느리고 가장 많이 꺾인다. 즉, 프리즘 역할을 하는 수많은 물방울에 의해 ... ...
백성을 위해 과학을 사용한 정조와 정약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보고 있노라면 우리 조상들의 과학적인 건축 기술에 감탄이 절로 나온답니다.특히
물질
의 상태가 변할 때 부피도 변한다는 것까지 예상해 성벽의 틈에 끼워 놓은‘ 눈썹돌’은 우리 조상만의 독창적인 과학 기술입니다. 성벽 틈사이로 물이 스며든 채 겨울을 지내다 보면 물이 얼었다가 녹으면서 ... ...
마법학교 비밀 편지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과학 상식 뛰어넘기 - 지시약어떤 용액이 산성인지 중성인지 염기성인지 알려 주는
물질
을 지시약이라고 한다 .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은 산성일 때나 중성일 때는 아무 변화가 없지만 염기성 용액을 만나면 붉은색으로 변한다. 수산화나트륨은 염기성 용액으로 미끈미끈한 성질을 가지는데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이 만화를 보고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말이 달리면 말꼬리는 뒤쪽으로 뻗지만 혜성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혜성의 꼬 ... 아닙니다. 혜성의 꼬리는 항상 해의 방향 반대쪽으로 뻗는답니다. 이것은 혜성의 꼬리를 이루는
물질
들이 태양풍에 밀려 뒤쪽으로 뻗기 때문입니다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작용이 효소적인 것이라고 해석했으나, 실제로는 권패류(卷貝類)의 바티라 정자의 작용
물질
은 한 줄의 사슬로 된 염기성 폴리펩티드(분자량 8,800)이며, 이 분자 약 2,000개가 난막에 결합하면 비로소 난막을 구성하는 무코다당(분자량 500만) 1분자가 난막에서 절단되어 유리된다는 사실이 ... ...
에이즈 예방하는 여성용 젤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물질
로 구성됐다. 이 연구 결과는 10월 31일 ‘네이처’에 발표됐다.연구팀이 3가지
물질
중 최소 한 가지를 HIV와 비슷한 원숭이-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SHIV)에 걸린 원숭이에 바르자 약 75%가 SHIV의 감염을 피할 수 있었다. 세 가지를 함께 처방하자 약효가 가장 컸다. 이 제품의 효과는 6시간 이나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숙주에서 병을 일으킬 때 결합 단백질과 Z-DNA의 결합이 꼭 필요하다. 이 결합을 막는
물질
을 개발하면 항바이러스제로 쓸 수 있을 것이다.DNA나 단백질을 이용해 나노 크기의 기계를 만들려는 노력이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특히 DNA를 이용한 나노 소자 개발은 뉴욕대의 나드리안 씨만 박사가 활발하게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과목까지 마련돼 있다.최근 KAIST에 합격한 3학년 구자현(16)군은 식물 추출물에서 항균성
물질
을 찾는 주제로 졸업논문을 쓰고 있다. “원하는 수업을 들을 수 있고 자유 시간이 많아 좋아하는 공부를 깊이 할 수 있다는 것이 우리 학교의 장점”이라며 “앞으로 화학과에 진학해 제약 분야에서 일하는 ... ...
에이버리의 유전
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츰 에이버리의 연구는 DNA가 유전자 구성
물질
이라는 증거를 최초로 제시한 실험으로 인정받게 됐다. 에 이 버 리 는1877년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의 핼리팩스에서 목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같은해 뉴욕으로 옮긴 뒤 뉴욕메일 문법학교와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적색거성의
물질
을 빨아먹고 있습니다. 이 때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물질
은 원반모양을 이루며 여기서 엑스선이라고 하는 빛이 나온답니다. 엑스선 알지요? 팔다리가 부러졌을 때 뼈 사진을 찍으려면 바로 엑스선을 이용한답니다. 이 엑스선이 지구신령을 비추었을 때 뼈가 드러나는 것을 상상해 ... ...
이전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