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계산해 새로운 생물을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과정에 주목했어요. 그리고 이때 일어나는 변화를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계산했어요. 그
뒤
대장균에 이 계산을 적용해 보았더니 계산대로 단백질 양이 조절됐답니다.김 교수는 “아직은 부족한 생물학과 수학의 교류가 앞으로 더 활발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어요.*유전자 발현 : 유전자는 RNA를 ... ...
올 추석엔 슈퍼문과 블러드문이 동시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추석은 달빛이 좋은 가을밤이라는 뜻에서 예로부터 ‘월석’이라고도 불렀어요. 그런데 올 추석에는 붉은 빛의 커다란 달이 나타난다고 해요. 슈퍼문과 블러드문 ... 우리나라에서는 날씨가 좋을 경우 슈퍼문만 볼 수 있을 거라고 해요. 블러드문은 3년
뒤
인 2018년이 돼야 볼 수 있답니다 ... ...
치타 VS 표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또 표범은 어깨뼈에 붙어 있는 근육이 발달해서 나무에 잘 오를 수 있어요. 먹이를 잡은
뒤
나무 위에 올려 놓고 며칠씩 먹기도 한답니다.표범은 치타처럼 고양이과에 속하며 몸 길이는 약 1.5m예요. 하지만 치타와 달리 사바나 지역이나 열대우림 환경을 더 좋아한답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지역에만 ... ...
종이나라 ‘ 오려라 공주’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잠금 장치를 열고 탑으로 올라갔지만, 이미 다찌저 왕자는 오려라 공주를 데리고 사라진
뒤
였다. 그런데 바로 그때, 어디선가 “오려라 공주님이다!”라고 외치는 소리가 들렸다. 밖으로 나가 보니 호수를 가로지르는 다리 위로 많은 사람들이 지나가고 있는 게 아닌가! 그리고 어디선가 다찌저 ... ...
생체모방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있고, 걸음걸이나 다양한 동작들도 사람의 행동과 비슷하지요. 키가 크고 머리가 커서
뒤
뚱거리며 걷던 과거의 휴머노이드와 달리, 최근에는 사람처럼 8등신 비율의 몸매를 자랑해요.휴머노이드의 가장 중요한 기술은 역시 걷기와 중심 잡기예요. 4족 보행이 아니라 2발로 걷는 2족 보행이기 때문에 ... ...
인공광합성에서 초강력 레이저까지! 빛의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파장만으로 만들어요. 1960년 미국의 물리학자 시어도어 메이먼이 처음 만들었는데, 그
뒤
로 발전을 거듭해 오늘날에는 레이저가 빛의 연구를 이끌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아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레이저광주과학기술원 초강력레이저과학연구단에서는 레이저가 나오는 시간을 아주 짧게 ... ...
지렁이 소화 능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아주 잘 자란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우리 지렁이들을 일부러 땅에 풀어 놓고 얼마
뒤
에 그 땅에서 농사를 짓기도 한답니다.소화를 잘 시키는 너만의 특별한 비법이 있다며?최근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대학교 제이크 번디 교수팀이 저의 소화 능력에 대해 연구한 결과, 특별한 소화 효소를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5가지 음식잉크를 조합해 피자를 만들어낼 수 있는 3D 프린터를 개발했어요. 3D 프린팅 한
뒤
오븐에서 굽기만 하면 되죠. 또 우리나라에서도 올해부터 3D 프린터로 초콜릿을 만들 수 있게 됐답니다. ‘로킷’이라는 3D 프린터 회사에서 초콜릿 3D 프린터인 ‘초코스케치’를 팔기 시작했거든요.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한 여름 숲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곤충을 빛으로 유인한
뒤
, 직접 잡아서 관찰해 보며 특징을 배웠어요. 잡아서 관찰한
뒤
에는 모두 살던 자리에 놔 주는 것도 잊지 않았죠. 민재네 자연연구소팀의 박민재 대원은 “도감이나 곤충 판매점에서나 보던 곤충을 실제로 보니 정말 신기하고 재미있다”고 소감을 밝혔답니다.캠프에 참여한 ... ...
서민 교수님이 들려주는 기생충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기 때문이에요.두 시간 가량 이어진 강연이 끝난
뒤
에는 ‘노빈손과 위험한 기생충 연구소’ 사인회가 열렸어요. 강연장 앞쪽이 가득 찰 정도로 많은 친구들이 줄을 섰는데, 교수님은 한 명 한 명 모두 사인해 주셨어요. 이날 강연을 들었던 유다은 친구는 “서민 ... ...
이전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