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북한에서만 산다고 알려진 ‘기는 미나리아재비’가 서울숲에서 발견된 거야. 목포
대학
교 김휘 교수는 “새를 타고 이동한 게 아닐까 추정된다”고 말했지.또 서울숲이 생긴지 오래되지 않아 버섯이 포함된 균류를 얼마 발견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생각보다 많은 26종의 버섯을 발견했어. ... ...
우리 주변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GIS 연구실(유기윤 지도교수)에서 만난 노건일 박사과정 학생이 말했다. 그는 최근 동료
대학
원생들과 함께 새로운 위치기반서비스 ‘버블시티’를 개발했다. 이 서비스를 바탕으로 벤처까지 창업했다. 노 씨는 “공학자들은 기술창업으로 세상에 기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개발 동기를 밝혔다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A씨는 SNS에 접속할 때마다 눈살이 찌푸려진다.
대학
에 다니던 시절 사귀었던 전 남자친구 사진이 자꾸 ‘알 수도 있는 친구’에 뜨기 때문. SNS 알고리듬이 A씨와 그 사이의 친구 관계를 분석해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다. 현실의 인간관계를 컴퓨터 속 알고리듬이 규정하는 셈이다. 흔히 사람들은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누가 에너지의 최종 왕좌를 차지할까. 나용수_ysna@snu.ac.kr서울대 원자핵공학과와 동
대학
원을 졸업하고 독일 뮌헨공대에서 플라스마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국가핵융합연구소를 거쳐 현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토카막 핵융합로 노심 ... ...
[과학뉴스] 수능 생과 II 8번, 무엇이 문제였나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논란을 일으킨 2015학년도
대학
수학능력시험 생명과학II 8번 문제를 본 일반인들의 반응은 “뭐라고 하는지 모르겠다”였다. 논란을 이해하기 위해 문제를 차근차근 살펴보자. ...
[잘 가르치는
대학
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3차례나 우승을 기록했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시대와 기술은 계속해서 변하고, 사회가
대학
에 바라는 인재상도 계속 바뀐다. 숭실대가 다음으로 준비하고 있는 상품은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다.나만의 라즈베리 파이로 사물인터넷 전문가 된다숭실대에서 내년에 첫 신입생을 받는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3Doodler)’란다. 두들러는 ‘낙서하는 사람’이라는 뜻이야. 미국 MIT(메사추세츠공과
대학
교) 출신인 피터 딜워스와 맥스웰 보그가 개발했지.펜에 달린 버튼을 누르면 뜨거운 펜촉에 녹은 액체 플라스틱이 흘러나와. 액체 플라스틱은 곧 굳으면서 공기에 입체적으로 쓴 글씨나 멋진 작품이 되는 거야. ... ...
[참여] 수학을 배우고, 나누고, 즐기는 제4회 창의적수학토론대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토론을 거쳐 모두가 합의한 최선의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토론 현장에는 국내외 유명
대학
수학과 박사과정생과, 서울대 수리과학부 이학박사 출신의 CMS 영재교육연구소 부소장 등 수학계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토론 능력을 평가했다. 마지막 미션은 ‘릴레이 게임’이다. 이름 그대로 마치 릴레이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이름의 EBS 다큐 프라임을 토대로 한 이 책의 저자는 PD와 대중과학저술가이다. 이들 중
대학
에서 생물을 공부한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책의 내용과 깊이는 전문가들을 머쓱케 할 정도였다. 한 전문가는 ‘PD들이 멸종을 이렇게 잘 설명하는 데, 우리는 앞으로 뭐 먹고 사느냐’는 탄식을 내뱉기도 ... ...
[시사] 아벨상 수상자 세머레디 교수 난제 해결의 실마리는 가벼운 문제에서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조심스럽게 자신의 이야기를 꺼냈다. 처음부터 수학자를 꿈꾸지는 않았다면서 심지어
대학
을 중퇴하고 공장에서 일한 적도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래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뼈있는 한마디를 던지며 강연을 마무리했다.“장담하건대 앞으로 여러분이 어떤 전공과 직업을 선택하든 ... ...
이전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다음
공지사항